본문 바로가기

미술/한국화 옛그림45

풍속화 (펌) <출처> 글 사진. http://cafe.daum.net/deepgreensea/997Z/831 (닉넴. 바다속퐁당) 조선후기 풍속화는 18세기 초반 사인화가였던 공재 윤두서와 관아재 조영석에 의해 시작되어 정조와 순조시대, 즉 김홍도, 김득신, 신윤복 등에 의해 전성기를 맞는다. 그 중 단원 김홍도, 긍재 김득신, 혜원 신윤복은 예술적으로.. 2010. 10. 28.
난(蘭) 그림 비교 흥선대원군 석파 이하응 대원군(1820~1898)의 73세 때 작품 고균 김옥균 글씨 「대원군 난초 그림은 선이 피아노줄처럼 가늘고 팽팽한 게 특징이죠. 헌데 불행하게도 진품보다 위작이 많습니다. 워낙 인기가 많다보니 생전에도 위작이 많았다 해요.」 묵란도 석란도 운계시첩(雲階詩帖) / 石.. 2010. 10. 25.
김홍도, <耆老世聯圖> 김홍도. &lt;耆老世聯圖&gt; 1804년, 견본담채, 137 x 53.3cm, 개인 소장. 단원 김홍도의 작품으로1804년 9월에 개성 송악산 기슭에 있는 고려의 왕궁터인 만월대에서 계회를 가졌던 장면을 그린 그림입니다. 작품명이 기로세련계도(耆老世聯契圖)입니다. 작품명이 무척 어렵네요. 여기서 기로(耆.. 2010. 10. 22.
[스크랩] 겸재정선-금강첩 금강첩/ 겸재 정선 겸재 정선(謙齋 鄭敾)■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 - 1759)은 근세 조선 중기의 화가로 조선의 오백년 회화사에 큰 업적을 남긴 사람이다. 1676년 (숙종 2년)에 출생하여 1759년 (영조35년)에 세상을 떠났다. 자는 원백, 호는 겸재 또는 난곡이다. 그의 가문은 몰락한 양반 출신으로서 20세에 .. 2010.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