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한국화 옛그림 썸네일형 리스트형 북한작품전시 - 서울서예박물관 2019. 10. 17~ 북한미술 전시회 화폭에 담긴 북녁풍경 2019.10.17(목)~2019.10.27(일)|서울서예박물관 기간2019.10.17(목) ~ 2019.10.27(일)시간11:00-20:00 (입장마감 오후 7시) ※ 매주 월요일 휴관장소서울서예박물관 상설전시실 (3층) 관람등급전체관람장르전시가격무료 주최신현한문의02-580-1300 [전시소개] 전시 준.. 더보기 소당 이재관 이재관, <귀어도>, 1837년, 종이에 연한 색, 26.6×33.5cm, 개인 * 파초하선인도(芭蕉下仙人圖) 종이에 담채 139.4*66.7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굵은 붓으로 농묵을 듬뿍 찍어 비교적 간결한 손의 놀림을 통해 유려한 필치로 완성해낸 작품으로서 그의 높음 기량을 숨김없이 나타내고 있다. 또.. 더보기 和齋 변상벽의 고양이 그림 묘작도(猫雀圖) 비단에 설채 94.7 × 43.2 국립중앙미술관 소장 화재 변상벽은 일생동안 고양이 그림을 하도 많이 그려서 '변 고양이' 라는 별명이 붙을 지경이었다. 이렇게 고양이 그림을 많이 그렸다는 것은 단지 그림의 대상으로 고양이를 택했다는 것이라기 보다도 오히려 그가 평생을 .. 더보기 [스크랩] 民畵,<까치 호랑이 그림>과<이묘봉인도二卯奉寅圖> 까치 호랑이 그림(虎鵲圖) 큰 소나무 위에서 까치가 지저귀고 그 아래에 호랑이가 서 있거나 앉아 있는 모습으로 그려지며, '호작도' 또는 '작호도'라고 부른다. 맹수인 호랑이는 잡귀를 막아주는 영물로 믿어왔기 때문에 정월 초하룻날 대문 등에 붙이는 세화의 문배용으로 사용되었고, .. 더보기 [스크랩] 혜허가 그린 수월관음도 037 수월관음도 고려후기 비단에 색, 1420x615mm, 일본 센소지(淺草寺) 소장 일반적인 수월관음도가 암좌에 반가좌한 모습을 보이는 것과 달리, 이 수월관음도는 물방울 형태의 광배 안에 서 있는 자세로 표현되어 있다. 관음보살이 딛고 선 연화좌는 물 속에서 솟아나 있으며, 물결무늬는 먹.. 더보기 김홍도 1 - 혜곡 * 출처 - 學古山房 | 혜곡 엥? 혜곡이라면 최순우 선생님이신데? 김홍도. 백로도. 병진년화첩, 1796년, 지본담채, 26.7 x 31.6cm, 호암미술관 소장. 근대화 속에서 잃어버린 우리의 땅들, 우리는 그 고느적한 습지들을 잃어버렸다. 내가 그것을 알게 된 것은 북한을 다녀오고서 였다. 그 곳의 천연.. 더보기 민화 민화의 따스한 아름다움 출처. 예향한국 http://cafe.daum.net/yewhaung 일월오봉(악)도 /왕권을 상징 까치 호랑이 /벽사의 구실 호작도 /벽사의 구실 삼족오 /전설의 태양새.불멸 번영 봉황 가래개 /군왕, 태평성대 쌍압도 /장원급제 연리도 /과거 급제 연화도 / 선비정신,부부애 연화도/ 선비정신, .. 더보기 石塘 李維新 이유신 조선 후기(18세기 末)의 여항(閭巷) 문인화가. 자는 사윤(士潤), 호는 석당(石塘). 가계와 행적 등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1799년(정조 23) 이인문(李寅文)·유한지(兪漢芝)·홍의영(洪儀泳)과 함께 김득신(金得臣)의 〈대양일출도 大洋日出圖〉를 감상했다. 유재건(劉在建)의 이향견.. 더보기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