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 펌글 · 자료/ 인물

법정스님 어록 더보기
이해인 수녀님, 법정스님 영전에 법정 스님께 언제 한번 스님을 꼭 뵈어야겠다고 벼르는 사이 저도 많이 아프게 되었고 스님도 많이 편찮으시다더니 기어이 이렇게 먼저 먼 길을 떠나셨네요. 2월 중순, 스님의 조카스님으로부터 스님께서 많이 야위셨다는 말씀을 듣고 제 슬픔은 한층 더 깊고 무거워졌더랬습니다. 평소에 스님을 직접 뵙진 못해도 스님의 청정한 글들을 통해 우리는 얼마나 큰 기쁨을 누렸는지요! 우리나라 온 국민이 다 스님의 글로 위로 받고 평화를 누리며 행복해했습니다. 웬만한 집에는 다 스님의 책이 꽂혀 있고, 개인적 친분이 있는 분들은 스님의 글씨를 표구하여 걸어놓곤 했습니다. 이제 다시는 스님의 그 모습을 뵐 수 없음을, 새로운 글을 만날 수 없음을 슬퍼합니다. '야단맞고 싶으면 언제라도 나에게 오라'고 하시던 스님. 스님의 표현.. 더보기
헬렌켈러 - A Life 헬렌 켈러 A Life ─ 고요한 밤의 빛이 된 여인 2012.4.3. 품절 저자 : 도로시 허먼 Dorothy Herrmann은 미국 최고의 전기작가로 명성을 날리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앤 모로 린드버그의 일생을 그린 《A Gift for Life》와 희극 작가인 S. J. 펄먼의 평전, 《A Life》가 있다. 특히 《A Gift for Life》에는 주인공 린드버그의 일생을 통해 여성으로서 삶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이 감동적으로 그려져 있다. 앤 모로 린드버그는 세계 최초로 대서양 횡단 비행에 성공했던 찰스 어거스트 린드버그의 부인이다. 도로시 허먼은 《헬렌 켈러-A Life》를 쓰기 위해 장장 4년 동안 헬렌 켈러의 고향 앨라배마와 앤 설리번의 모교 퍼킨스 학교 등을 찾아다니며 자료를 수집하.. 더보기
추사 평전 ㅡ 예술과 학문을 넘나든 천재 추사 김정희 평전 저자최열 출판돌베개 | 2021. 8. 15. 페이지수 1,094 | 사이즈 160*221mm 판매가서적 49,500원 최열 1956년에 태어나 전주, 서울, 대전, 광주에서 성장하였고 / 1976년 무등산모임 이래 광주자유미술인협의회, 민족미술협의회, 민족민중미술운동전국연합 조직을 담당하였으며, / 1992년부터 정관 김복진 선생을 사숙하여 문호를 개창하고 / 1993년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05년 인물미술사학회를 조직하였다. /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원, 가나아트 편집장, 가나아트센터 기획실장,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학계실장을 역임하였고 / 2004년 이래 고려대, 국민대, 중앙대, 홍익대, 서울대에서 강의를 해오고 있으며 / 정관김복진미술이론상, 석남이경성미술.. 더보기
김대중 대통령이 감옥에서 읽었다는 책들 더보기
《그해 봄날》- 출판인 김언호가 만난 우리 시대의 賢人들 그해 봄날(반양장) ─ 출판인 김언호가 만난 우리 시대의 현인들저자 김언호 출판한길사 | 2020.10.30. 페이지수544 | 사이즈 140*210mm 판매가서적 17,100원 책소개 『그해 봄날: 출판인 김언호가 만난 우리 시대의 현인들』은 1980년대 역사의 현장 최전선에서 정신적 지주가 되어준 열여섯 분의 생각과 실천을 담았다. 출판인 김언호는 한 권의 책은 한 시대의 생각과 말씀을 담아낸다는 정신으로 44년째 책을 펴내고 있다. 이 책은 오늘 우리들 삶의 빛이고 희망이었던 현인들과 오랫동안 온몸으로 만난 기록이다. 열여섯 분의 삶과 정신을 가슴으로 써냈다. “해석을 앞세우지 않고 현인들의 육성을 충실히 받아 적는 기록자이자 전달자가 되고자 했다.” 말하고 쓰는 것은 물론이고 생각하는 것조차 용인.. 더보기
백범 김구 -「나의 소원」 나의 소원 "내가 원하는 우리 나라" ─ 백범 김구 민족 국가 네 所願이 무엇이냐 하고 하느님이 내게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大韓獨立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그 다음 소원은 무엇이냐 하면, 나는 또 “우리 나라의 독립이오.” 할 것이요, 또 그 다음 소원이 무엇이냐 하는 세 번째 물음에도, 나는 더욱 소리를 높여서 “나의 소원은 우리 나라 대한의 완전한 自主獨立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同胞 여러분! 나 김구의 소원은 이것 하나밖에는 없다. 내 과거의 칠십 평생을 이 소원을 위하여 살아왔고, 현재에도 이 소원 때문에 살고 있고, 미래에도 나는 이 소원을 達하려고 살 것이다. 독립이 없는 백성으로 칠십 평생에 설움과 부끄러움과 애탐을 받은 나에게는, 세상에 가장 좋은 것이, 완전.. 더보기
金敎臣 김교신 金敎臣 1901(함남 함흥) - 1945. 4. 25 순수한 ‘조선산 그리스도교’를 수립하고 교회에 매달린 교조적 신앙이 아닌 조선민족의 그리스도교를 뿌리내리는 무교회주의 신앙을 주장했다. 그의 신앙은 개인적 구제의 차원이 아니라 한 사람의 조선인 그리스도교도로서 시대의식을 명확히 지니고 조선민족의 구제와 조국 독립에까지 확대되었다. 일본 도쿄 세이소쿠 영어학교에 다니던 중, 동양선교회 성서학원 학생의 노방전도를 통해 그리스도교를 접했다. 일본 무교회운동을 창시한 우치무라 간조를 만나 성서연구회 일원이 되면서 신앙적 토대를 쌓아 갔다. 1927년 귀국, 교사가 되어 학생들에게 독립정신과 민족혼을 불러일으키는 민족주의적 교육을 일관했다. 월간 종교잡지 을 발행하고 1930년 6월부터 가정집회 형식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