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한국화 옛그림45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펌) 세한도(歲寒圖)와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는 추사 그림의 쌍벽을 이루는 백미이다. 이 그림은 건필(乾筆;渴筆)과 검묵(儉墨;먹을 아껴 쓰는 것;惜墨)을 통해서 고졸하고 간솔한 풍격을 추구했던 추사 그림의 특징을 전형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학예 일치와 서화 일치는 물론 화선(畵.. 2014. 6. 10. 관아재 조영석 觀我齋 趙榮祏 (1686-1761) 까치 강상조어도 노승 마굿간 馬童 말 징박기 새참 송작도 (松鵲圖) 手工旋車(선거)圖 어선도 장기 (펌) ☞ 관아재 휘 영석(교과서에 실린 선조) 1. 생애(生涯)와 인품(人品) 관아재(觀我齋) 조영석[1686-1761]은 겸재(謙齋) 정선[1676-1759],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17.. 2012. 8. 16. 강희안 - 강희맹 강희안 강희안,「고사도교도」, 견본채색, 22×22㎝,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초기의 문인화는 서화를 다루는 선비들의 논리가 문화를 선도했을 따름이지 회화적 변혁은 보이지 않았다. 미학 이론에 토대를 둔 창의성 표출이나 뚜렷한 회화이념이 있었다고 볼 수 없는 것이다. 시 서 화를 같.. 2012. 8. 6. 매화그림 심사정(沈師正 1707-1769), 매월만정(梅月滿庭) / 지본수묵(紙本水墨), 47.1x27.5cm 어몽룡(魚夢龍: 1566-?) 묵매(墨梅) / 견본수묵(絹本水墨), 13.5x20.3cm 허유(許維) 묵매(墨梅) / 지본수묵(紙本水墨), 30.5x24.7cm 허목(許穆), 월야삼청(月夜三淸) / 지본수묵(紙本水墨), 42.2x32.5cm 어몽룡의 월매(月梅) / 견.. 2012. 3. 26. 이전 1 2 3 4 5 6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