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11. 24. 18:11ㆍ중국
三國演義 一開場, 第一句話
사람들은 일제히 소리나는 쪽을 바라보았다.
9척 신장에 수염의 길이는 두 자가 넘고, 봉의 눈매에 누에 눈썹이 짙은 그의 얼굴은
무르익은 대춧빛이며, 소리는 마치 쇠북을 울리는 듯했다.
원소가 묻는다. "누구인가?"
공손찬이 대답한다. "유현덕의 의제 관우입니다."
"지금 무슨 벼슬에 있소?"
"유현덕의 마궁수로 있소이다."
대답이 끝나기가 무섭게 원술이 관우를 향해 호통을 친다.
"네가 우리 제후들 중에 장수가 없다고 업신여기는 게냐? 한낱 궁수 따위가 어디라고 감히
그런 소리를 지껄이느냐? 저놈을 당장 밖으로 끌어내라!"
조조가 급히 말린다.
"공로, 너무 노여워 마시오. 저자가 저렇듯 큰소리를 칠 때에는 그만한 용기와 지략이 있을
것인즉, 시험삼아 내보내서 만약 이기지 못하거든 그때 책망해도 늦지 않으리다."
원소는 도무지 내키지 않는 눈치다.
"한낱 마궁수 따위를 내보냈다가 화웅의 웃음거리가 되면 그땐 어쩔 테요?"
조조가 말한다.
"보아하니 평범한 인물 같지는 않은데, 화웅인들 저자가 마궁수인줄 어찌 알겠소."
잠자코 듣고만 있던 관우가 다시 청한다.
"만일 화웅을 이기지 못하면 그땐 내 목을 내어드리리다."
조조가 더운 술 한잔을 가져다가 관우에게 권한다.
"한잔 마시고 나가시게."
"그냥 두십시오. 술은 갔다 와서 마시지요."
관우는 말을 마치기가 무섭게 칼을 들고 밖으로 나가 말에 뛰어올랐다.
잠시 후 관 밖에서는 북소리와 함성이 천지를 진동한다.
금방이라도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질 듯 요란하여 모든 제후들이 놀라 소식을 기다리는데,
문득 말방울소리가 들려왔다.
일제히 쳐다보니 관우가 화웅의 머리를 들고 와서 보란듯이 내팽개쳤다.
따라놓은 술이 미처 식지 않은 사이였다.
후세 사람들은 관우의 공로를 이렇게 칭송했다.
위엄이 천지를 진압한 제일 공훈 /
군문의 북소리 둥둥 울릴 때로다 /
관운장이 술잔 놓아둔 채 용맹을 떨쳐 /
그 술이 식기도 전에 화웅의 목 베었더라 /
관우(關羽)
자가 운장(雲長)이고 하동(河東) 해량(解梁: 지금의 산서성 운성시<雲城市> 상평촌<常平村>) 출신이다. 정사에는 관우가 태어난 날에 대한 기록이 보이지 않지만, <전장군관장목후조묘비명(前將軍關壯穆侯祖墓碑銘)과 <사전비기(祀田碑記)>·≪관제지(關帝志)≫ 등의 기록과 민간에 전해지는 여러 가지 설들을 종합하면, 그는 대체로 환제(桓帝) 연희(延熹) 3년(160)에 농민의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에는 이름을 장생(長生)이라 하였다가 뒤에 우(羽)로 바꾸었다.
관우는 맥성에서 패하여 임저장향(臨沮章鄕: 지금의 호북성 안원현<安遠縣> 북쪽)으로 퇴각하다가 손권의 복병에게 사로잡혀 아들 관평(關平)과 함께 피살되었다. 이때 관우의 나이 59세였다.
관우가 죽은지 41년 후 촉(蜀) 경요(景耀) 3년(260, 관우 탄신 100주년)에 후주 유선(劉禪)은 관우의 시호를 장목후(壯繆侯)로 추증했다. 그러나 남북조 시기부터 청대 말기에 이르기까지 관우는 역대 제왕들의 추존을 끊임없이 받아, "후(侯)에서 왕, 왕에서 제(帝), 제에서 성(聖), 성에서 천(天)"으로 올라갔다. 그의 명성은 중국은 물론 해외에까지 널리 알려져 중국 역사상 가장 존경받고 신성시 되는 우상의 한 사람이 되었으며, 마침내는 공자와 함께 "문무이성(文武二聖)"으로 병칭되었다.
정사에서는 관우의 활약에 대한 기록이 그다지 두드러지지 않는다. 그러나 그의 명성은 민간설화와 명대의 소설 ≪삼국연의(三國演義)≫를 거치면서 '충의(忠義)'의 화신으로 신격화 되어갔다. 역대 왕조의 통치자들은 이러한 전형 인물을 빌어 그들의 통치를 유지하는 수호신으로 삼고자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관우의 충의와 용맹·무예를 더욱 과장하여 많은 문무대신들이 관우처럼 왕에게 충의를 다하고 사직에 용맹과 무예를 바치기를 바랬던 것이다.
관우에게 왕이라는 작위를 붙이기 시작한 것은 송대부터이다. 휘종(徽宗)은 숭녕(崇寧) 원년(1102)에 관우의 시호를 '충혜공(忠惠公)'으로 추증하고 그의 작위를 후작에서 공작으로 한단계 더 높였다. 다시 계속하여 숭녕 3년(1104)에는 '숭녕진군(崇寧眞君)', 대관(大觀) 2년(1108)에는 '소열무안왕(昭烈武安王)', 선화(宣和) 5년(1123)에는 '의용무안왕(義勇武安王)'으로 추존했다.
남송의 창시자 고종(高宗)도 건염(建炎) 2년(1128)에 관우를 '장목의용무안왕(壯繆義勇武安王)'에 봉했고, 그의 아들 효종(孝宗)은 순희(淳熙) 14년(1187)에 관우를 '장목의용무안영제왕(壯繆義勇武安英濟王)'에 봉했다.
원나라 문종(文宗)은 천력(天曆) 원년(1328)에 남송시대에 관우에게 내린 시호에서 '장목(壯繆)'을 없애고 대신 '현령(顯靈)'으로 바꾸어, '현령의용무안영제왕(顯靈勇武安英濟王)'이라 하였다.
관우에게 제(帝)라는 시호를 붙이기 시작한 것은 명대부터이다. 주원장(朱元璋)이 죽은 후 혜제(惠帝)가 왕위를 계승했다. 혜제 건문(建文) 3년(1399)에 주체(朱棣)가 정변을 일으켜 왕위를 찬탈했는데, 그가 바로 성조(成祖: 영락황제<永樂皇帝>)이다. 성조는 자신의 행동을 관우의 영험한 도움을 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즉 그가 황제가 된 것이 "하늘의 뜻"이라는 말이다. 황제가 관우를 신이라 한 이상, 신하와 백성들도 당연히 관우를 신으로 숭상하였다. 명대 중후기의 정덕(正德) 4년(1509), 조정에서는 조서를 내려 전국에 있던 관묘(關廟: 관우 사당)의 이름을 모두 '충무묘(忠武廟)'로 고치게 했다.
만력(萬曆) 22년(1594), 도사 장통원(張通元)의 요청으로 신종(神宗: 만력황제<萬曆皇帝>)은 관우를 제(帝)에 봉하고, 관묘의 이름을 '충무'에서 '영렬(英烈)'로 바꾸었다.
만력 42년(1614) 10월, 신종은 관우를 '삼계복마대신위원진천존관성제군(三界伏魔大神威遠震天尊關聖帝君)'(≪해여총고(咳余叢考)≫≪노포총담(老圃叢談)≫ 참고)에 봉했다.
청대의 통치자들도 관우를 매우 숭배했다. 세조(世祖: 순치황제<順治皇帝>)는 순치 원년(1644)에 관우를 '충의신무관성대제(忠義神武關聖大帝)'에 봉했고, 성조(聖祖: 강희황제<康熙皇帝>)는 강희 42년(1703)에 관우의 선조, 조부, 부친을 공작(公爵)으로 추존했다.
건륭(乾隆) 이후 가경(嘉慶)·도광(道光) 두 왕조를 거치면서 관우의 시호를 '인용위현호국보민정성수정우찬선덕충의신무관성대제(仁勇威顯護國保民精誠綏靖羽贊宣德忠義神武關聖大帝)'라고 하여 그에 대한 숭배가 극에 달했다. 문종(文宗: 함풍황제<咸豊皇帝>)은 함풍 5년(1855)에 관우의 선조를 '광소왕(光昭王)', 조부를 '유창왕(裕昌王)', 부친을 '성충왕(成忠王)'에 추증하고, 관우의 신위를 황궁에 모셔두었다.
관림(關林)
관림은 관제묘(關帝廟)라고도 한다. 낙양시(洛陽市) 남쪽 7㎞에 위치한 관림은 관우의 목이 묻힌 곳으로 알려져 있다. 옛날에는 이곳에 무덤만 하나 있었으나, 명대 만력(萬曆) 연간에 여기에 사당을 짓고 잣나무를 심었다. 그후 다시 청대 건륭(乾隆) 연간에 증축하여 현재의 규모로 조성하였다.
'관림'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과거 중국의 등급제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과거 중국에서는 황제의 무덤을 '능(陵)', 왕후의 무덤을 '총(塚)', 일반 백성의 무덤을 '분(墳)'이라 하였으며, 오직 성인의 무덤에만 '림(林)'자를 붙였다. 중국 역사상 성인으로 일컬어지는 인물은 두 사람이 있다. 한 사람은 너무도 잘 알려져 있는 중국 최초의 교육가 공자이고, 다른 한 사람은 바로 삼국시대 촉의 명장 관우이다. 따라서 오직 이 두 사람의 무덤만은 각각 '공림(孔林)'과 '관림(關林)'으로 일컬어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에 이러한 관림묘(關林廟)는 세 군데 있다. 관우의 목이 안장된 낙양 관림 외에도, 관우의 시신이 안장된 호북성 당양(當陽)의 관림과 관우의 고향인 산서성 해현(解縣)에 세워진 운성관림(運城關林)이 있다.
따라서 지금에 이르기까지도 민간에서는 관우를 일러 "머리는 낙양을 베게삼고, 몸은 당양에 누워 있으며, 혼은 고향으로 돌아갔다."고 말한다.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봉(開封) (0) | 2007.11.29 |
---|---|
洛陽, 龍門石窟 (0) | 2007.11.25 |
정쩌우(鄭州), 운대산 부터... (0) | 2007.11.23 |
張家界 猿家界 (0) | 2007.08.10 |
류리창 [琉璃廠(유리창 (0) | 2007.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