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스트림』

2012. 8. 27. 17:14책 · 펌글 · 자료/정치·경제·사회·인류·

 

 

모두를 즐겁게 하는 그 문화에 대한 탐문 『메인스트림』. 프랑스의 문화 비평가 프레데릭 마르텔은 이 책에서 미국의 대중문화가 전 세계 곳곳에 파고들 수 있었던 이유를 낱낱이 추적하고, 세계의 다양한 문화가 미국 문화에 어떻게 저항하고 경쟁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그러면서 세계화와 문화자본주의, 인터넷 혁명 등으로 상징되는 이 시대에 문화의 방향과 나아갈 길을 성찰한다. 이 책은 서울에서 베이징까지, 이스탄불에서 뭄바이까지, 콩고 킨샤사에서 두바이까지, 프라하에서 보스턴까지 다섯 대륙을 종횡무진하며 방대하지만 압축적인 정보와 분석을 제공하여, 전 세계 메인스트림 문화의 현장을 생생하게 들여다 볼 수 있다. ‘메인스트림 문화’는 많은 시청자를 겨냥하는 미디어나 문화 상품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대중문화의 역사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방향까지 담아낸 책이다.

 

 

 

메인스트림

 

 

 

제1부 문화 산업의 지배자, 미국


제1장 잭 발렌티 혹은 할리우드의 로비 22
라틴아메리카의 공격에 직면한 MPAA
제2장 멀티플렉스 42
드라이브 인에서 멀티플렉스로 | 팝콘으로 돈을 벌다 | ‘교외’에서 ‘외곽도시’로 | 코카콜라 대 펩시콜라, 그 흥미진진한 대결
제3장 디즈니와 창작 산업 63
「토이 스토리」에서 「라이온 킹」까지 | 미라맥스와 드림웍스: 추락
제4장 뉴 할리우드 91
“영화사들이 은행이다” | “우리는 「스파이더맨」에 파란불을 켜주지 않았다” | 할리우드의 마케팅 전략과 소몰이의 관계 | 할리우드는 노조에 장악당했다?
제5장 「인디아나 존스」를 포함한 모든 ‘인디’ 120
“우리가 콘텐츠다” | 비밀 에이전트
제6장 팝 음악의 발명 140
“MP3 세대가 이겼소. 그러나 나는 그 세대가 아니지” | “쿨, 이건 힙에 상업적 성공을 더한 것이다” | 내슈빌, 미국에서 만난 또 하나의 음악의 수도 | MTV의 성공은 반문화와 함께
제7장 폴린, 티나, 그리고 오프라 184
티나 브라운 혹은 새로운 문화 저널리즘 | 오프라라는 브랜드 | 새로운 비평가
제8장 USC, 메인스트림 대학 226
연구와 개발 | 문화적 다양성

제2부 문화의 세계대전이 시작되다


제9장 「쿵푸 팬더」, 할리우드와 대결하는 중국 246
톈안먼 광장 근처, 중국 검열의 중심 | 워너 멀티플렉스의 강탈 | 홍콩, 아시아의 할리우드 | 머독은 어떻게 중국에서 수백만 달러를 잃고 한 여인을 얻었는가
제10장 발리우드는 어떻게 세계 정복에 나섰는가 289
뉴 발리우드
제11장 번역을 통해 사라지다 317
쿨 재팬 | 글로벌 미디어, 망가 | 제이팝과 케이팝의 전쟁
제12장 드라마, 라마단 연속극, 그리고 텔레노벨라의 지정학 337
포맷 전쟁 | 라마단 연속극 | (남북) 아메리카 정복에 나선 텔레노벨라
제13장 마이애미, 라틴아메리카 팝의 수도 375
“레게톤은 라틴 대중을 하나로 묶어준다” | 또 하나의 LA, 라틴아메리카
제14장 알자지라는 어떻게 아랍 세계의 메인스트림 채널이 되었나 397
카타르의 알자지라 본사 | 뉴스와 엔터테인먼트의 결합, 인포테인먼트 | 이미지 전쟁 | 알아라비야, 혹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참전 | 진실의 강 | 텔레수르, 남쪽의 텔레비전 | “이스라엘이 당신을 찾아가기 전에 이스라엘을 찾아오라”
제15장 사막의 미디어 왕자 456
레바논의 음악, 두바이의 텔레비전, 카이로의 영화 | 사막의 할리우드
제16장 유럽의 안티 메인스트림 문화 488
유럽 비디오 게임 성공의 착시 효과 | 중부 유럽의 범슬라브 문화? | 유럽 문화의 레바논화 | 런던과 파리, 아프리카 음악 세계의 수도 | 유럽, 아시아, 아랍 사이의 공간, 터키의 미국화

결론 디지털 시대의 문화와 정보의 새로운 지정학 530
미국의 엔터테인먼트 | 뜨는 나라들의 뜨는 문화 | 라마단 콘텐츠 | 할리우드에서 발리우드로, 그리고 귀환 | ‘오픈 업’을 중국어로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 어떻게 창작 산업의 수도가 될 것인가 | 침몰하는 나라들 | 디지털 재생산 시대의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