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末/淸初 회화

2011. 12. 17. 15:15미술/일본화·중국화·기타

 

 


명말과 청나라 초기의 예술적 배경

 

명말과 청나라 초기에는 대부분 동기창의 이론을 추종하는 분위기이지만 동기창을 반대하여 도전장을 내는 화가 그룹이 있었는데,

이들을 안휘 지역의 이름을 따서 안휘파 라고 하며, 4명의 승려로 구성된 승려학파라 한다.  

(안후이i, 후이저후, 광뚱)



 

 

 

강서, 장수, 상해, 난징은 elite 의 집합지로 남종화의 중심 지역이었는데, 청왕조가 들어서자 이 지역은 쑥대밭이 되고,

강남 부자들은 바로 옆의 안휘성으로 도망을 간다.

안휘지역에서 화가가 배출되고 그림의 소비층이 형성된다.

광동성에 있는 도시 안휘는 종이와 먹의 생산지이며 양쯔강을 끼고 있고 상인들의 근거지가 된다.

부자와 그림 소모 계급이 몰려있다.                   
                                         
안휘파와 승려학파는 안휘성에 있는 황산에 칩거하면서 그림을 그렸고 사업차 안휘에 왔던 상인들이 이들의 그림을 사간다.



안휘파 그림


1. 소문종 Xiao Yuncong 1593-1673, Reading in the Snowy Mountain 1657




소문종이 황산을 그린 그림으로 눈 내리는 산의 작은 정자 안에서 도인이 독서를 하고 있다.

 

 

 

 


2. 사사표 Zha Shibiao 1615-1698 Chanting Poems in Leisure

 


 

 

 

 

 


3. 매청 Mei Qing 1623-1697 Two Immortals on Huangshan 1695

 


 

 

 

황산은 험하고 바위와 암벽과 봉우리가 다 있어서 화가가 다루어 볼 수 있는 motive 를 다 갖춘 산이다.

동기창을 따르는 일련의 화가들과 반대 입장인 안휘파와 4명의 승려파의 그림에서는 ‘나’가 강조가 된다.

나의 해석이 들어가야 하며 서양 미술사의 추상 abstract 과 표현주의적  __expression__istic 개념와 다소 비슷하다.

이들의 그림은 같은 파일지라도 각기 개성이 살아 있으며

하나의 스타일을 따라 비슷하게 그려왔던 중국 미술의 공식을 파괴한다.

 

 

 

 


승려학파 그림

 

 


1. 홍인 1610-1669 The Coming of Autumn 1658-61

 


 

 

 

 

 


예찬 1301-1374 Wood and Valley of Mountain Yu  

 


 

 

 

홍인이 元 4대가인 예찬을 따라 그림을 그린다.

붓의 사용을 절제하고 먹도 농담이 아니라 건조하게 사용한다.

동산이 하나는 작아지고 하나는 커지는 스타일로 화면을 구성해서 그린다.

 

 

 

 


오진,  Fisherman

 


 

 

북송, 남송의 전통을 이어받아 비한족 지배에 대한 반감의 상징인 세한삼우를 그렸던 원4대가 오진의 그림이 또 한번 motive 가 된다.  

4 Monk Masters 중 2명은 명 황실의 먼 친척이며 청나라와 반대되는 사조를 따르고

세한삼우을 그렸던 화가들과 같은 role 을 택하여 황산에서 은둔생활을 하였다.

 

 

 


 2. 석도 1642-1707, Ten Thousand Ugly Inkblots 1685

 


 

 

석도는 정통 원리를 벗어난 방법으로 먹을 막 뿌려서 그렸다. 중국의 잭슨 폴락이라는 말을 듣는다.

 

 

 


석도, Reminiscence of Qinhuai, Album Leaf

 


 

 

역대의 중국 미술의 어떤 대가의 공식에도 안 맞는 그림이 막 나온다.

사실주의적도 아니고, 미를 추구하는 그림도 아니고, 자연 속의 미미한 인간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도 아니다.

 

 

 


석도, 명헌천과 호두암 Mingxianquan and Hutouyan

 


 

 

중국의 전통 미술의 흐름을 바꾸어 놓으며, 어떤 해석에도 벗어나는 그림이다.

안휘파와 4명의 승려 화가의 사회적 위치는 밑바닥이며, 청왕조가 들어선 이후에는 떠돌이 생활을 하는데,

가진 손재주로 그림을 그렸더니 막 팔렸다.

그래서 professional painter 로 전업을 하며 색깔을 자유롭게 쓴다.

동기창은 단묵으로 그리는데 화려한 색은 손재주를 가진 전문화가가 할 일이라고 여긴다.

 

 

 

 


3. 주탑 1626-1705, Two Birds

 


 

 

화조화가 또한 인기를 끈다.

 

 

 

 


주탑, Lotus and Birds             

 

                                                         


Zhu Da, Mynah Bird on an Old Tree



 

예전에는 스타일이나 준법을 다 같이 썼으나 이제는 틀을 다 버리고 그리고 싶은 대로 그린다.

주탑은 승려이다 보니까 이름을 계속 바꾸어 이름이 여러 개이다.

작가의 이름이 복수인 관계로 인휘 지역에서 이름이 조금 나면 화가가 버젓이 있는데도 모방 작품이 물밀듯 들어오고

진작, 진위를 알 길이 없다.

이런 현상에 환멸을 느끼고 안휘를 떠나 떠돌아 다니는 화가도 있었다.

 

 

 


4. 곤잔, Summer, Album Leaf from Summer of Four Leaves Painted for Mountain

 


 


 

 

 

 

 

 

 

정통파 Orthodox School 그림

명나라 말기 청나라 초기에 동기창을 따르는 정통파가 주류를 이룬다.

이들은 장수성과 북경을 왔다 갔다 하는 권세있는 elite 그룹으로서 그림의 흐름을 이끈다.

이들은 6 Masters of Early Period 의 정통파 라고 하며 Four Wangs 으로서 왕시민(1592-1680), 왕감(1598-1677),

왕휘 (1632-1717), 왕원기(1642-1715) 가 있으며,

운수평(1633-1690) 과 오력(1632- 1718) 이 이에 속한다.

또한 양주팔괴 8 Eccentrics of Yangshou 는 청나라 초기에 태어난 사람들로서 동기창을 따르는 주류에 속한다.

왕사신 (1686-1759), 황신 (1687-1768), 이선 (1686?-1756), 금농 (1687-1764), 라빙 (1733-1799),

Gāo Xiáng (1688-1753),  정섭 (1693-1765), 이방응 (1696 - 1755) 등이 이 그룹에 속한다.

 

 


1. 왕시민, Landscape in the Style of Zhao Mengfu 1670

 


 

 

정통파 왕시민은 동기창의 화론을 몇줄 적고 이에 해당되는 그림을 찾아서 함께 묶어 화첩 textbook 을 만들어

동기창의 이론을 답습하고 후대에 계승한다.

동기창을 중심으로 하는 정통파들은 청왕조 정치 핵심으로 사대부 gentry 그룹을 구성한다.

동기창은 남종화인 literati painting 을 옹호하고,

청왕조와 동기창을 반대하는 안휘파와 4명의 승려화가는 문인화의 motive인 세한삼우 그림을 그리는데, irony 라고 할 수 있다.

서로 상반되는 파가 따르는 그림이 같은 맥락인 남종화와 문인화이기 때문이다. 


2. 왕휘, A Thousand Peaks and Myriad Ravines 1693

 


 

 

동기창의 화론을 배우면서 남종화의 문인산수 스타일을 따라 그리면서 동시에 북종화 곽희 스타일의 웅장한 산도 함께 그려

남종화와 북종화를 잇는 다리 역활을 한다.

 

 

 


3. 운수평, Peonies 

 


 

 

윤수평은 꽃그림을 그렸기에 별로 알려지지 않은 화가이다.

 

 

 

 

 


4. 오력,  Spring Comes to the Lake 1676

 


 

 

 

 

 


5. 왕원기, Mountain Dwelling on a Summer Day after Original by Wang Meng

 


 

 


중국 미술사는 청대 초기에서 끝이 난다.

청나라 말기에는 서양 그림의 영향을 받아 사실적인 그림이 나타난다.

중국회화는 그림 안에 사의를 담는 것을 중요시했지만

청왕조에 들어와서 사진찍듯이 그리는 초상화 장르가 중요해 졌고

황제의 머리카락 한오라기도 놓치지 않고 그리는 사실주의가 큰 힘을 발휘한다.

그림 안에 사의(뜻을 옮김)는 없어지고 18-19세기에 서구의 영향으로 그림이 사실로 넘어간다.

또한 19세기 중반에 사진 매체가 나타나는 엄청난 사건이 터지고 초상화 장르에 지각변동이 일어난다.

청말에 이르러 산수화를 사실적으로 그리는 전문화가가 나타난다.

도시 전체를 보는 듯한 아주 새로운 느낌의 그림이 욕구 대상이 되고 시장이 커진다.

명왕조 때에 서양문물과 종교가 들어오고, 유교도 주자학에서 양명학으로 또 고증학으로 현실에 가까운 쪽으로 방향을 튼다.

형이상학적 학문인 유교를 칸트, 니체와 비교하는 approach 가 20세기 중반을 넘어서자 인기를 얻고, 칸트와 니체의 이론이 불교와 비슷하기도 한데, 서양철학은 너무 어렵게 풀어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가져온다.

그림에 철학 이야기를 빼고 하면 ‘아 신기하다’ 하고 끝나는 spectacle 에 지나지 않는다.

서양에 와서 공부한 동양의 유학생들은 도교나 불교를 원시적 primitive 으로 보고

사상, 철학 식민주의에 빠져들어 본국의 elite 층에게 그렇게 가르친다.

일본 중심으로 역사를 풀어가는 것은 식민사관이라고 한다.

한번도 의문시되지 않던 것을 질문함은 knowledge 의 hierarchy 에 대한 도전장을 내미는 행위이다.

이런 류의 지식 탐구를 가장 support 하는 나라가 미국이다.

미국의 돈이 연결이 되고 그렇게 해서 아시아 국가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고 있어야지 시장 진출이 가능해진다.

다국적 기업의 관심사이기도 하며 연구에 funding 을 잘 한다.  

4명의 승려파는 ‘내가 자유롭다’는 표현은 했어도 한번도 추상적이니 표현적이니 하는 말은 한 적이 없다.

중국의 미술사책을 영어로 번역할 때, 중국적인 표현이 이해가 되지 않으면 서양미술에서 쓰이는 친숙한 용어로 바꾸어 놓는다.

‘잭슨폴락 같다’ ‘추상적, 표현적이다’ 하는 말은 서양의 frame 에 맞게 중국의 용어를 domesticate, familiarize 한 경우이며

이를 지식의 식민화로 보기도 한다. 중국예술의 장르를 painting 이라고 부르는 것 자체가 모순일 수도 있다. 

 

 

출처. 문화특강 김미연.

 

'미술 > 일본화·중국화·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대 그림  (0) 2011.12.18
팔대산인  (0) 2011.12.17
청명하상도  (0) 2011.10.29
아프리카 미술 (2)  (0) 2011.08.22
아프리카 미술  (0) 2011.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