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0. 11. 19:17ㆍ미술/미술 이야기 (책)
똑같은 빨강은 없다(창비청소년문고 32)
- 교과서에 다 담지 못한 미술 이야기
저자김경서 출판창비 | 2018.10.26. 페이지수288 | 사이즈 152*210mm판매가서적 11,520원
책소개
그림은 언제부터 액자 속에 있게 됐을까? 아름다운 것과 추한 것은 어떻게 다를까? 마음을 담아 그리면 모두가 알아줄까? 『똑같은 빨강은 없다』는 미술을 둘러싼 여러 질문을 흥미롭게 풀어내며 다채로운 미술 세계로 안내하는 교양서이다. 미술을 좋아하는 중학생 보라와 미술 선생님이 친근한 대화를 주고받는 형식으로 쓰여 더욱 쉽고 재미있게 읽힌다.
저자 김경서는 현직 미술 교사이자 다수의 미술 평론과 기획을 이끌어 온 미술 비평가이다. 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서를 수차례 집필한 베테랑 교사답게 저자는 깊이 있는 지식을 알기 쉽게 오목조목 설명한다. 고대 쇼베 동굴 벽화부터 서울 석촌호수에 뜬 러버덕까지 다양한 작품을 아우르며 미술을 제대로 느끼고, 표현하고, 감상하는 법을 전한다. 『똑같은 빨강은 없다』는 청소년들이 문화 예술을 향유하고 존중할 줄 아는 시민으로 올곧게 성장할 수 있도록 환하게 길을 터 주는 책이다.
저자 : 김경서
서울 불광중학교 미술 교사. 미술은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새롭게 열어 주는 문이라고 생각한다. 학생들과 함께 그 문을 열어 가고자 한다. 홍익대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미학을 전공했으며, 동국대학교에서 동양 철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미술 평론가로 여러 전시를 기획하고 비평 활동을 펼쳐 왔다. 『감추기, 드러내기, 있게 하기』 등 미술 비평서와 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서를 집필했으며 『고전은 나의 힘: 예술 읽기』의 편자로 참여했다.
목차
1 아름다움을 경험하다
액자 속에 갇힌 아름다움
예쁜 것과 아름다운 건 달라
'예쁘다'와 '아름답다'는 다른 판단이니까.
예쁘다는 건 조형에 대한 외적 판단이거든.
色과 形은 조형의 기본요소야. 겉으로 보이는 모양, 색, 명암, 질감, 양감(量感) 등이 바로 조형의 기본이 되는 것들이지.
예쁘다는 건 객관적 인식이고 아름답다는 것은 주관적 판단이라고 할 수 있지.
............
인식론적 미학의 관점에서는 대상의 속성과 관계없이 '우리가 어떻게 느끼느냐에 따라 아름다움과 추함이 결정되는데',
존재론적 미학의 관점에서는 '우리가 어떻게 느끼든 그 자체로 아름다운 속성을 지녔으므로 아름답다'라고 말할 수 있어.
존재가 인식을 결정하는지, 인식이 존재를 결정하는지에 대한 철학적 물음은 오래된 것이야.
아름다움에는 이유가 있다
2 아름다움을 표현하다
실제인 척 눈을 속이기
마음을 담아 그린다면 알아줄까
때로는 재료가 전부다
언제나 똑같은 빨강은 없다
미술관 밖에서 미술하기
표현하는 과정도 미술이 된다
3 아름다움을 생각하다
미술 작품에 담긴 이야기
미술 작품에 비친 세상
생각을 바꾼 미술가들
현실의 문제를 고민하는 미술가들
제대로 미술을 읽는 법
미술 교과서만으로 미술을 제대로 알 수 있을까?
베테랑 미술 교사, 수업 시간에 못다 한 이야기를 풀어놓다
미술은 정규 교육 과정에 포함된 과목으로, 청소년들이 창의성과 표현력을 기르고 문화 시민으로 자라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얇은 미술 교과서, 적은 수업 시수만으로 미술을 제대로 이해하기는 어렵다. 나아가 미술을 온전히 사랑하는 법을 배우기에도 한계가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학교 미술 수업 시간에 미처 못다 한 이야기들을 풀어놓는다.
『똑같은 빨강은 없다』는 ‘아름다움을 경험하다’ ‘아름다움을 표현하다’ ‘아름다움을 생각하다’라는 3개의 부로 구성되어 ‘체험, 표현, 감상’이라는 미술 교과서의 기본을 따르면서도 훨씬 깊이 있는 지식을 녹여 낸다. 미술의 기초 개념들, 다양한 재료의 활용과 표현, 여러 가지 비평의 관점 등을 배울 수 있다.
흔히들 예술을 ‘문화의 꽃’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반드시 예술이 필요하겠지요. 몇몇 뛰어난 재능을 가진 천재적 미술가가 세상의 예술을 대변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이제는 누구든 자신이 하고 싶은 생각과 느낌을 자신만의 방식대로 표현할 줄 알아야 합니다. 여러분이 이 책을 통해 예술을 느끼고, 생각하고, 표현하는 법에 대해 알았으면 합니다.
- 「들어가며」 중에서
시대와 지역을 망라하며 새롭고 이채로운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는 점도 이 책의 강점이다. 몬드리안의 「빨강, 파랑, 노랑의 구성」 등 미술 교과서에 단골처럼 등장하는 작품은 물론이고, “여성이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들어가려면 벗어야 하는가?”라며 남성 중심적인 미술계에 문제를 제기한 게릴라 걸스의 포스터처럼 개성 있는 작품들도 실렸다. 최소영의 「집과 개」, 지용호의 「버펄로」처럼 색다른 재료를 활용하는 한국 젊은 작가의 작품을 살펴보는 재미도 선사한다. 미술은 고루한 것이 아니라 재미있는 것, 현재와 호흡하며 우리 삶에 녹아 있는 것이라는 점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마음이 가는 대로 솔직하게!
느끼고 생각하고 표현하기
대화 속에서 선생님이 보라에게 강조하는 원칙은 단 한 가지, 바로 ‘솔직할 것’이다. 흔히 미술의 소질을 ‘그림을 잘 그리는 것’으로 한정해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 탓에 단순히 그리는 기술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미술에 소질이 없다고 단정하고, 미술에 흥미를 잃게 되기도 한다. 『똑같은 빨강은 없다』는 이런 오해를 바로잡으며 ‘느끼고 생각하고 표현하는’ 그 자체가 소중하다는 점을 일깨운다.
예컨대 두 가지 색으로만 캔버스를 가득 채운 마크 로스코의 추상화 「오렌지와 노랑」, 변기를 예술이라 칭한 마르셀 뒤샹의 「샘」 등을 보며 보라는 이 작품들이 어째서 훌륭한지 이해하지 못하고 막막한 기분을 느낀다. 선생님은 그런 보라를 향해 작품을 감상하는 데 틀린 관점이란 없으며 오히려 “누구나, 언제든, 똑같이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이라면 그건 진정한 창작이라고 할 수 없을지...도”(260면) 모른다고 말한다. 솔직한 생각을 말하는 것이 좋은 감상의 시작이라는 점을 전하며 용기를 북돋운다.
1
구도의 3요소 --- 변화, 통일, 균형
2
마그리트는 미술은 조형예술이며 문학과 표현의 형식이 다르다는 것을 명확히 하고자 했어.
예술 형식으로서의 문학과 미술이 구분되는 근본적인 차이는 언어와 이미지인데,
여태까지의 미술은 지나치게 문학적 요소에 기대면서 미술의 본질적 가치를 잃었다는 게 마그리트의 생각이었지.
3
김홍도 - <벼타작>
피터르 브뤼헐 -<농가의 결혼식>(1568)
4
뒤샹의 작품경향을 다다이즘이라고도 하고 개념미술이라고도 해.
'다다'는 '어린아이의 장난감 목마'를 뜻하는 프랑스어로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야.
1차 세계대전은 다다이즘의 탄생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어.
전쟁에 대한 분노와 강한 비판의식에서 나타난 것이 다다이즘이야.
모든 기성의 문화적 가치와 이성에 대한 신뢰를 부정하고 예술형식 또한 파괴하려고 했지.
다다이즘을 지향한 예술가들이 새롭게 재시한 미술양식이 바로 '개념미술'이야.
그 전까지의 미술은 액자에 걸린 회화작품이나 조각품처럼 色과 形으로 완성된 결과물만을 미술이라고 불렀지.
보고 만질 수 있는 조형물이 아니고서ㅡㄴ 그것을 미술이라고 할 수 없었던 거야.
개념미술가들은 이것을 부정했어.
진짜 중요한 것은 결과물이 아니라 그것을 예술이라 여기고 감동을 느끼도록 만드는 생각이라고 여겼지.
조형물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생각 그 자체'가 곧 미술이라고 주장한 거야.
'그 작품이 대체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생각하는 것,'이 미술이라는 거지.
그래서 개념 미술가들은 미술에 대한 생각을 어떻게 작품에 반영하는가에 주목했어.
어차피 남는 것은 미적인 감동이라고 여긴 것이지.
뒤샹이 畵廊에 가져다 놓은 변기는 그 자체로는 중요하지 않아.
작가가 왜 그것을 선택했으며, 전시를 통해 무엇을 전달하고자 했는지, 과정과 개념이 중요했던 거야.
개념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물질적 결과물은 예술의 본질이 아니야.
행위미술도 일종의 개념미술이라 할 수 있지.
'미술 > 미술 이야기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멍가게, 오늘도 문 얄었습니다』 (0) | 2020.10.24 |
---|---|
『젊은 예술가들의 천국』 (0) | 2020.10.19 |
『화가는 무엇으로 그리는가』 (0) | 2020.08.31 |
『명화독서』 (0) | 2020.08.27 |
다시 읽는 《名畵를 결정짓는 다섯 가지 힘》 (0) | 202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