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의 역사 2』

2015. 8. 6. 17:44책 · 펌글 · 자료/정치·경제·사회·인류·

 

 

 

요즘 통~ 책을 못 읽네요.

이 책도 빌려다만 놓고 있다가 내일 반납하라네요. ㅠㅠ

책은 괜찮아 보입니다.

목차를 보니까 1권은 건너뛰어도 되겠습니다.

 

 

 

 

 

전략의 역사. 2 

 

 

 

전략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탄생하고 발전되어 왔는가?

『전략의 역사』는 세계적인 전략 역사학자 로렌스 프리드먼 교수가 광범위한 역사의 흐름 속에서 전략이 어떻게 변모했고, 어떻게 해서 우리 삶 곳곳에 파고들었는지를 흥미진진하게 소개한다. 침팬지 사회에 등장한 전략부터 고대 그리스 신화, 제1, 2차 세계대전, 냉전 시대와 현대의 선거 그리고 기업 경영에 이르기까지 인류 역사와 함께 발전해온 모든 형식의 전략을 총망라했다.

2권은 사회주의 태동 이후에 발전한 혁명 시대의 전략과 과학기술 그리고 경영학, 경제학의 발달이 전략의 행보를 어떻게 움직이게 했는지를 소개한다. 민중로부터의 변화와 정부로부터의 변화를 통한 정치 전략의 변천 그리고 기술 발달로 인한 경영 전략의 변화를 보여준다. 시대 발전에 따라 보다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어떻게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것인지, 또 현재 상황에 가장 효과적인 결론은 무엇인지에 대해 다양한 전문가들이 고민하고 논의했던 이론들이 펼쳐진다.

 

 

 

저자 : 로렌스 프리드먼
저자 로렌스 프리드먼(Lawrence Freedman)은 전략의 문명사를 단 한 권의 책으로 집대성한 현 시대 최고의 지성! 킹스칼리지 런던 전쟁연구학부의 교수이자 부학장이다. ‘국제 전략 연구의 최고 권위자’로 평가받는 그는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의 외교 정책 자문관을 역임했다.
맨체스터 대학교와 요크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공부했고, 이후 세계적인 싱크탱크인 영국 국제전략연구소와 영국 왕립국제문제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뛰어난 지성과 식견으로 영국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된 저자는 대영제국 훈작사와 작위급 훈장을 수여받았다. 1997년에는 포클랜드 전쟁의 공식 역사기록관으로 임명되었으며, 1999년에 미국 시카고에서 토니 블레어 전 총리가 발표한 ‘블레어 독트린’ 작성에도 참여했다. 그리고 2009년부터는 이라크 전쟁의 영국 공식조사단으로 활동하고 있다.
정치와 군사 전략에 대한 많은 글을 써온 저자는 지금도 정기적으로 논평을 해오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적들의 선택: 미국이 직면한 중동 세계》, 《핵 전략의 발전》, 《전쟁 억지력》, 《케네디의 전쟁: 베를린, 쿠바, 라오스 그리고 베트남》, 《걸프전》, 《전략 연구의 변화》, 《전쟁의 역사: 냉전》 외 다수가 있다. 저자의 책 중 《적들의 선택》은 2009년 라이오넬 겔버상을 수상했으며, 군사학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보인 저작물에 수여하는 웨스트민스터 공작 메달을 받았다.

 

 

 

제3부. 아래로부터의 전략


제18장. 마르크스, 노동자 계급을 위한 전략
직업적 혁명가들 | 1848년 혁명 | 폭동의 전략

제19장. 헤르첸과 바쿠닌
미하일 바쿠닌 | 제1인터내셔널과 파리코뮌 | 행동을 통한 선전

제20장. 수정주의자와 전위
수정주의 | 로자 룩셈부르크 | 레닌 | 볼셰비키와 멘셰비키 | 전쟁과 혁명

제21장. 관료주의자와 민주주의자 그리고 엘리트주의자
막스 베버 | 레오 톨스토이 | 제인 애덤스와 헐 하루스 복지관 | 존 듀이와 실용주의

제22장. 형식주의자와 신화 그리고 선전
군중과 공중 | 안토니오 그람시 | 제임스 버넘 | 전문가와 선전 활동

제23장. 비폭력의 힘
간디가 준 충격 | 비폭력의 잠재력 | 미국에서의 비폭력 노선

제24장. 실존적 전략
반역자 | 라이트 밀즈와 권력의 의미 | 포트휴런 선언문 | 영웅적인 조직가 | 세자르 차베스 | 불완전한 커뮤니티

제25장. 블랙파워와 백인의 분노
혁명 속의 혁명 | 폭력의 신기루 | 다시 시카고로 | 여성 해방과 동성애자 운동

제26장. 프레임, 패러다임, 담화 그리고 내러티브
전 세계가 지켜보고 있다 | 토머스 쿤 | 미셸 푸코 | ‘내러티브’라는 개념

제27장. 인종과 종교 그리고 선거
새로운 정치 | 신보수주의 다수파 | 로널드 레이건 | 리 앳워터 | 영속적인 선거 운동



제4부. 위로부터의 전략


제28장. 경영자 계급의 성장
‘경영자’의 의미 | 테일러주의 | 메리 파커 폴렛 | 인간관계 학파

제29장. 경영이 하는 일
존 록펠러 | 헨리 포드 | 알프레드 슬론

제30장. 경영 전략
전략 기획자
제31장. 경영은 전쟁이다

제32장. 경제학의 융성
경제학에서 경영학으로 | ‘경쟁’이라는 과제

제33장. 붉은 여왕과 푸른 바다
대리 이론 | 경영자, 위험한 직업 | 경영과정 재설계 | ‘블루오션’으로의 이동

제34장. 사회학적 과제
경영 혁명가들

제35장. 의도된 전략과 응급 전략
학습하는 조직 | 지배로서의 경영 | 경영 전략의 유행 | 다시 내러티브로 | 기본으로 돌아가다



제5부. 전략 이론


제36장. 합리적 선택의 한계
로체스터 학파 | 연합 형성 | 협력의 발전

제37장. 합리적 선택을 넘어서
합리적 선택 모델에 대한 비판 | ‘정신화’의 의미 | 시스템 1과 시스템 2

제38장. 이야기와 대본
전략의 한계 | 시스템 1 전략과 시스템 2 전략 | 전략적 내러티브 | 대본 | 전략적 대본과 극적 대본 

 

 

 

 

 

 

 

 

 

 

전략의 역사. 1 

 

 

 

 

제1부. 전략의 기원


제1장. 기원 1 - 진화
폭력의 전략

제2장. 기원 2 - 성경
10계명, 전략적 위압 | 위압적이라는 평판 | 다윗과 골리앗

제3장. 기원 3 - 그리스
오디세우스 | 메티스의 방법 | 투키디데스 | 말과 속임수 | 플라톤의 전략적 쿠데타

제4장. 손자와 마키아벨리
손자와 《손자병법》 | 마키아벨리와 《군주론》

제5장. 사탄의 전략
천국에서 벌어지는 전투 | 판데모니움 | 교활한 속임수의 한계


제2부. 군사 전략


제6장. 전략이라는 새로운 학문
전략과 전략가 | 나폴레옹의 전략 | 보로디노 전투

제7장. 클라우제비츠
앙리 조미니 | 클라우제비츠의 전략 | 승리의 원천

제8장. 가짜 과학
톨스토이와 역사 | 몰트케

제9장. 섬멸이냐 소모냐
미국의 남북 전쟁 | 공세 전략의 숭배자 | 머핸과 코베트 | 지정학

제10장. 뇌와 근육
항공 전력 | 장갑전

제11장. 간접적인 접근법
처칠의 전략

제12장. 핵 게임
새로운 전략가들 | 게임 이론 | 죄수의 딜레마

제13장. 비합리성의 합리성
억지력 | 토머스 셸링 | 선제공격과 보복 공격 | 실존적 억지

제14장. 게릴라전
아라비아의 로렌스 | 마오쩌둥과 보응우옌잡 | 대 게릴라 활동

제15장. 관찰과 지향
우다 고리 | 소모전과 기동전 | 작전술

제16장. 군사 혁신
비대칭전 | 제4세대 전쟁 | 정보 작전

제17장. 근거 없는 믿음, 전략의 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