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명시인들의 잃어버린 詩

2011. 1. 4. 14:10詩.

 

 

 

 

그때 나는 헌책방에서 《현대문학》, 《문학사상》같은 문예월간지들을 잔뜩 사서 읽고는 했었는데,

그건 적은 돈으로 많은 글을 읽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어느날 그 문예지 속에서 일제시대 무명시인들의 시를 처음 보게 되었다.

지금 그 책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내 기억으로는 《문학사상》에서였던 것 같다.

1930년대 초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외일보 같은 신문에 투고한 무명시인들의 시를 찾아 실어놓았는데,

대부분 당시의 힘겨운 삶을 동요 동시의 틀을 빌어 쓴 것이었다.

이제 와 다시 보니 민요나 전래동요의 틀을 가진 것도 있지만, 당시 유행하던 7 · 5 조 틀을 가진 게 제일 많다.

아마 창작동요의 영향이 컷던 듯하다.

이 시들은 우리 문학사 어디에도 나오지 않는다. 어찌 보면 '잃어버린 시'라고 할 수 있다.

(백창우 『시를 노래하다』P 82~85)

 

 

 

 

 

 

 

고무공장 큰 굴뚝 거짓말쟁이

뛰 하고 고동은 불어 놓고는

우리 엄만 아직도 보내지 않고

시치미를 뚝 떼고 내만 피지요

 

- 한태천 <공장굴뚝> 全文 (1930)

 

 

 

 

 

 

아무 때나 공장 뛰는 듣기 싫어요

호랑이 울음처럼 가슴 놀래요

불쌍한 우리 언니 눈 온 새벽도

공장 뛰 불면은 불면 갑니다

공장 뛰 불면은 불쌍한 언니

오냐 하고 기다리다 속는답니다

 

- 안송 <공장 뛰> 全文 (1931)

 

 

 

 

 

콩나물죽 후룩후룩 먹으며

아버지 생각하였다

우리 아버지 돌아오시면

죽 안 먹으려니 하고

 

- 이욱정 <콩나물죽> 全文 (1930)

 

 

 

 

 

울엄마 눈물은 많기도 해요

나는 나는 유치원 다닐 때고요

울오빠 큰학교 다닐 때는요

울아버지 가막소 들어갔다고

엄마는 자꾸자꾸 울어댔지요

 

- 안송 <울엄마 눈물>(1930) 에서

 

 

 

 

 

내일은 북간도로 길 떠나는 날

세간을 다 팔아도 여비 모자라

검둥이마저 팔아 돈 받았지요

아버지 예전부터 하시는 말씀

'북간도는 좋은 곳 이밥 먹는 곳

나무도 아니하고 학교도 가지'

이렇게 좋은 곳을 찾아가는데

어머니 아버지가 봇짐 싸면서

어째서 하루종일 울으실까요

 

- 신기순 <북간도> 全文 (1930)

 

 

 

 

 

새벽마다 고동소리 뛰나면은

우리 누나 일어나서 찬밥 먹고서

고치 캐는 공장으로 울며 가지요

 

- 김낙환 <공장누나> (1930) 에서

 

 

 

 

 

새끼 꼬던 아버지 한숨 집니다

기름 말라 등잔불 꺼지이면은

깜깜나라 잠자기 좋을텐데요

아버지는 공연히 한숨 집니다

 

- 이경로 <한숨> (1930) 에서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용악  (0) 2011.01.04
김광섭 시 모음  (0) 2011.01.04
김소월 시 모음  (0) 2011.01.04
《백창우, 시를 노래하다》1  (0) 2011.01.03
심훈 시 모음  (0) 2010.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