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일 歷史共同硏究

2010. 3. 24. 19:29책 · 펌글 · 자료/ 인물

 

 

 

일본의 한국 식민지배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던 ‘임나일본부설’이 한·일 역사학자들의 공동연구에서 공식적으로 부인됐다.

또 일본 일부 교과서에 기술된 ‘조선 침략 왜구에 조선인이 포함됐다’는 내용 역시 사실이 아니라는 데 한·일 학자들은 동의했다.

그러나 조선통신사의 성격, 을사늑약의 강제성 여부, 일제강점기 노동자 전시동원 문제 등 한·일 근세사의 첨예한 쟁점에서는

현저한 시각차를 재확인했다.
제2기 한·일 역사공동연구위원회는 23일 2년6개월간의 공동연구를 마치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최종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고대사 일부에서는 합의

 

한·일 학자들은 지난 4세기에서 6세기까지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일본 교과서 내용과 관련,

일본의 야마토 정권 세력이 한반도 남부에서 활동했을 수 있지만

‘임나일본부’라는 공식 본부를 설치해 지배활동을 했다고 볼 수는 없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임나일본부설’은 일본의 야마토 정권이 4세기 후반에 한반도 남부지역에 진출해 백제·신라·가야를 지배하고

특히 가야에는 ‘일본부’라는 기관을 두고 6세기 중엽까지 직접 통치를 했다는 주장이다.
한·일 역사공동위의 한국 측 위원장인 조광 고려대 교수는 “임나일본부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양국 위원들이 의견을 같이했다”며 “전문적인 고대사 연구자들인 양국 학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라고 설명했다.
최종보고서는 “일본서기 신공기 49년조의 해당 기록 중에서 ‘왜가 가야 7국을 평정했다’는 내용은 사실로 볼 수 없다”며

“광개토대왕비에서 고구려와 전쟁을 치렀다고 기록된 ‘왜군’이란 왜가 백제·가야와 연합한 군대였을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한·일 역사학자들은 또 조선을 침략했던 왜구에 조선인이 포함됐다는 일본 측 교과서 기술내용은 사실이 아니며,

왜구는 대마도와 일본 본토 해안에 거주하는 일본인 중심의 해적 집단이라는 사실에도 동의했다.
한국의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연구한 역사공동위 4분과는 ‘14~15세기 조선을 침략했던 왜구의 정체가 조선인’이라는

일본학계 일각의 주장에 대해 “왜구의 주요 구성원이 일본 해민(어민)이라는 것은 각국 사료의 공통된 인식”이라며

“일본 쓰시마, 이키, 마쓰우라 해민들이 왜구의 중추를 이뤘던 것으로 보인다”고 반박했다.

이밖에 일본의 벼농사와 금속문화가 한국을 거쳐 들어왔다는 점,

일제강점기에 조선인과 일본인 사이에 차별이 존재했다는 점에서도 양국 학자들은 의견을 같이했다.


근세사에서는 첨예한 논쟁 계속

 

역사공동위는 을사늑약이나 식민지 근대화론, 일제강점기 여성을 포함한 강제동원 문제 등에 대해서는

서로의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고 각자의 의견을 병기하는 데 그쳤다.
또 한·일 간 역사문제의 최대 쟁점으로 꼽히는 한·일 강제병합과 종군위안부, 독도영유권, 한·일 청구권 등은

24개 공동연구 주제에서 처음부터 제외됐다.
일본 식민지배에 대해 일본 측은 ‘일본이 한반도를 일방적으로 침략한 것이 아니라 한국 주류 세력도 이에 동조했다’는 인식을

굽히지 않았다. 또 일제강점기에도 조선인 노동자의 조직적인 강제 연행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조광 위원장은 “우리 측은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에서 계속 문제 제기를 했고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공동연구에서도 이견이 있을 수 있기에, 이번 위원회를 우선 모든 의견을 모아가는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조 위원장은 이어 “당장 역사교과서 공동 발간은 어렵겠지만 우선 양국 역사 이해에 존재하는 차이점과 일치점을 하나하나 찾아

나가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역사공동위는 최종연구보고서를 외교통상부와 교육과학기술부, 동북아역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인터넷

홈페이지에도 게재할 예정이다.


ⓒ 경향신문

 

 

 

 

 

 

'책 · 펌글 · 자료 >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예슬, 경향 인터뷰  (0) 2010.04.14
서유견문  (0) 2010.04.01
류영모  (0) 2010.03.20
우리 노무현 대통령님 2010년도 달력.  (0) 2010.01.23
한용운 & 루쉰  (0) 2010.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