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 펌글 · 자료/ 인물

함석헌 한국의 간디, 함석헌 함석헌(咸錫憲, 1901년 3월 13일 ~ 1989년 2월 4일)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언론인, 출판인이며 기독교운동가, 시민사회운동가였다. 광복 이후에는 비폭력 인권 운동을 전개한 민권운동가이자 언론인, 재야운동가, 문필가이다. 1919년 3.1 운동에 참여했다가 퇴학당한 후, 사무원과 소학교 교사 등을 전전하다가 1928년부터 1938년까지 오산학교의 교사를 역임했다. 이후 교육, 언론 활동 등에 종사하다가 해방 후, 1947년 월남하였다. 이후에는 성서 강해 등을 하다가 1956년부터는 장준하의 사상계에 참여하여 정치, 시사 등에 대한 평론 활동, 신앙 활동, 반독재 민주화 운동 등을 하였다. 그의 종교는 초기에는 일본 유학 중에 우치무라 간조의 영향을 받아 無敎會主.. 더보기
김지하가 그린 그림이라는데, 김지하의 코믹달마 할! 할 할 할이로다 사자의 뇌 찢어지니 금강이 짤리우고 천 개의 강물 만 개의 물에 달빛만 교교한데 큰 도끼가 한 벌거지를 자르니 할 중의 할이로다 이 무슨 까닭이뇨? - 계해년 여름 (1983년) 지하가 먹장난하다 이 그림을 그릴 때가 45살이구만요. 포즈도 그렇지만 특히 손을 보니까 만화책에 흔히 나오는 장면 같은데 (그래서 '먹장난'이라고 쓴 듯), 어찌 됐든 "일필휘지!" 필력이 대단합니다. ※ 김지하가 1964년 4개월간 감옥살고 원주에 돌아왔을 때, 장일순 선생님이 맘 가라앉히려 蘭 치는 걸 가르쳤다고 하더구만. 이 정도 수준이면 전시회를 여러 번 했을 것 같은데, 나는 어찌 못 들었을까??? 김지하(金芝河) 전남 목포, 1941. 2. 4 1970년대 반체제문인들 가운데 .. 더보기
『두 사람의 역사』 두 사람의 역사 - 플라톤에서 만델라까지 만남은 어떻게 역사가 되었는가 2018.11.26. 책소개 사람과 사람의 만남이 쌓아올린 역사, 플라톤에서 만델라까지 역사가 된 만남의 순간 15장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만남에서 넬슨 만델라와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의 만남까지, 각 시.. 더보기
이어령 마지막 인터뷰 이어령 마지막 인터뷰"죽음을 기다리며 나는 탄생의 신비를 배웠네" The copyright belongs to the original writer of the content, and there may be errors in machine translation results. 版权归内容原作者所有。机器翻译结果可能存在错误。 原文の著作権は原著著作者にあり、機械翻訳の結果にエラーが含まれる.. 더보기
헐! 나는 여태 하이네가 소녀틱한 서정시인인 줄로만 알았네! 슐레지엔의 직조공 하이네 침침한 눈에는 눈물도 마르고 베틀에 앉아 이빨을 간다 독일이여 우리는 짠다 너의 수의를 세 겹의 저주를 거기에 짜 넣는다 우리는 짠다, 우리는 짠다! 첫 번째 저주는 신에게 추위와 굶주림 속에서 우리는 기도했건만 희망도 기대도 허사가 되었다 신은 우리.. 더보기
기사 펌)) 이황의 재산 증식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자력으로 학문을 하였는데, 문장(文章)이 일찍 성취되었고… 오로지 성리(性理)의 학문에 전념하다가 『주자전서(朱子全書)』를 읽고는 그것을 좋아하여 한결같이 그 교훈대로 따랐다… 빈약(貧約)을 편안하게 여기고 담박(淡泊)을 좋아했으며 이끗이나 형세, .. 더보기
에이! 속상해서! 에이 진짜 왜 이러냐! 이제 다 왔는데! 더보기
『그가 있었기에』- 최순우를 그리면서 2017. 7. 19. 혜곡 최순우 기념관 엮음. 우리 전통 문화의 정수를 널리 알린 명저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의 저자인 혜곡 최순우(1916~1984) 전 국립박물관장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그가 있었기에: 최순우를 그리면서』가 발간되었습니다. 이 책은 혜곡 선생과 인연을 맺은 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