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주상관매도》를 다시 정리함.

2019. 4. 25. 08:51미술/내 맘대로 그림 읽기




『옛그림 읽기의 즐거움 1』에 나오는 오주석의「주상관매도 」해당 부분을 직접 옮겨적었고,

다른 해설글들은 지웠으며, 댓글로 남겼던 ‘모놀로그’를 본문으로 올려서 정리해 넣었습니다.





舟上觀梅圖 / 김홍도 / 종이에 수묵담채, 164×76㎝, 개인 소장





오주석 著『옛그림 읽기의 즐거움 1』p107~113


.................

................


뿌옇게 떠오르는 끝없는 빈 공간, 그 한중간에 가파른 절벽 위로 몇 그루 꽃나무가 안개 속에 슬쩍 얼비친다. 화면 왼쪽 아래 구석에는 이편 산자락의 끄트머리가 꼬리를 드리웠는데 그 뒤로 잠시 멈춘 조각배 안에는 조촐한 주안상을 앞에 하고 비스듬히 몸을 젖혀 꽃을 느긋이 치켜다보는 노인과 다소곳이 옹송그린 뱃사공이 보인다.


여백이 하도 넓다보니 어디가 하늘이고 어디가 물인지 가늠을 할 수 없다. 그렇다, 김홍도가 시에서 읊었듯이 "물 아래가 하늘이고 하늘 위가 물인가"보다. 또 "봄 물에 배를 띄워 가는 대로 놓았으니" 잎새 같은 조각배는 둥실둥실 흔들리며 기운없는 노인에게 가벼운 어지럼증을 가져다주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인지 그렇지 않아도 어두운 "늙은 눈에 보이는 저 꽃나무는 어슬프레하니 안개 속에 잠겨 있는 둣하다."


그림은 바로 위 시조 그대로이고 시조는 그림을 꼭 빼닮았다. <<주상관매도>에서는 그려진 경물보다 에워싼 여백이 전면에 부각된다. 그 보일 듯 말 듯한 느낌은 마치 지금은 들리지 않는 노년의 단원 김홍도, 그분이 소리하는 가녀린 시조창인 듯하다.

허공 중에 아스라히 떠오른 언덕, 그것은 신기루와도 같다. 그림 한복판의 언덕은 짙은 먹선으로 초점이 잡혀 있지만 오른쪽과 왼쪽으로 뻗어나가는 필선은 점점 붓질이 약해지고 말라가면서 뿌연 여백 속으로 사라진다. 꽃나무도 마찬가지다. 가운데 가지 하나가 쨍하고 짙게 보이지만 그 좌우로 가면서는 역시 흐릿해지는 것이다. 나무 아래 언덕의 주름에도 김홍도의 순간의 흥취가 배어 있다.


경물과 여백이 서로에게 안기고 스며드는 이 작품의 시적인 공간감각은 김홍도 노년기 산수화에 엿보이는 특징이다. 그런데 우리가 보는 저 언덕의 모습은 실제 풍경일까? 아니다. 언덕과 꽃나무는 우리가 바라본 것도, 맞은편에 앉은 뱃사공이 바라본 것도 아니다. 바로 그림 속의 주인공인 주황빛 도포를 걸친 노인의 늙은 눈에 얼비친 풍경이다. 이를테면 그것은 그림 속의 노인이 바라보는 풍경이 그대로 화폭 위로 떠오른 것이다.


참으로 오묘한 우리 옛그림의 맛이 아닐 수 없다. 노인은 고개를 들어 저 언덕 위를 쳐다보고 있다. 그러니 아래쪽은 저절로 뿌예질 수밖에 없다. 작가 김홍도는 완전히 저 노인과 한마음이다. 그러므로 화가의 시선 또한 작품의 하변 바닥까지 내려와서 노인이 타고 있는 배를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것처럼 그리고 있다.


김홍도는 화제(畵題)를 "老年花似霧中看(노년화사무중간)"이라 썼다. "늙은 나이에 뵈는 꽃은 안개 속을 보는 듯하네" 는 글이 주인공의 쓸쓸한 심정을 묘사한 것임을 고려하여, 그 글씨 역시 전체적으로 약간 비스듬히 써서 그 연장선이 뱃전의 노인 쪽을 향하게 하였다. 그런데 이 화제는 김홍도가 한시를 본따서 시조를 지은 것이다. 한시 원작은 두보가 59세로 죽던 해에 쓴 <한식 전날 배 안에서 짓다>라는 작품이다.


좋은 때라 억지로 마시며 먹으매 날이 오히려 찬데

상(床)을 비끼고 쓸쓸하니 은자의 관을 썼네

봄 물의 배는 하늘 위에 앉은 듯하고

늙은이 되어 보는 꽃은 안개 속에서 보는 듯하네



×



예술작품에는 위대한 것과 사랑스러운 것이 있다. 위대한 작품이 훌륭한 박물관에서 감상하기에 적합한 것이라면, 사랑스러운 작품은 나만의 서재에 걸어두고 늘 가까이하며 바라보고 싶은 그림이라 할 것이다. 만약 하늘이 꿈속에서나마 소원하는 옛 그림 한 점을 가질 수 있도록 복을 준다고 하면 나는 <주상관매도>를 고르고 싶다. 이 작품의 넉넉한 여백 속에서 시성 두보의 시름 섞인 영혼과의 대화를 나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늙은 김홍도 그 분의 풍류로운 모습을 아련하게 느낄 수 있으며, 내가 가장 사랑하는 우리 엣 음악의 가락까지 들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


.


.





저는 오주석님과 의견이 전혀 다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

이 그림은 '음화(淫畵)'로써, ‘벌거벗고 누운 여자의 음부(性器)’를 그린 것입니다.

늙으막에 옛추억을 떠올리면서......



 

                                                       

                                                

  

1)

'老年花似霧中看(노년화사무중간 : 늙은 나이에 보는 꽃은 안개 속을 들여다보는 것 같네)'

이 역시도 저는 다르게 해석합니다.

'늙은이에게는 예쁜 여자를 봐도 그림의 떡일 뿐이라네',


2)

자세히 보면 '老年花似霧' 와 '中看'을 따로 썼습니다.

<─ '霧中看(안갯속)'으로 쓴 것이 아니고, '中看(중간)'만을 떼어 놓았단 말입니다?

왤까요? - 이상하다고 느껴지지 않습니까?

문맥상으로도 그렇고, 길지도 않은 글귀인데,, 왜 이어서 쓰지를 않고 굳이 행간을 바꿔서 썼을까요? 

또 '中看'이란 글씨는 터럭처럼 가늘게 썼습니다. 


도대체 왜일까요?


"中"은 말 그대로 가운데 중(中)자입니다.

이것은 여자의 몸 한가운데를 가르키는 말입니다.

'간(看)'은 '볼 간'이지만 '사이 간(間)'과도 음이 같지요.

(* 두 글자가 은유적으로 상통하기도 합니다.)


장담하건대, 이 그림은 춘화(春畵)로 그린 것이며 여성의 음부를 그린 것입니다. 

(※ 쿨베의 작품「세상의 기원」과 유사한 작품임.)


다시 한 번 보십시다.

화제(畵題)로 쓴 글씨의 위치도 좀 이상하다고 느껴지지 않으십니까?

그림의 위쪽에, 왼편이건 오른편에다 쓰는 게 상례(常例) 아니던가요?

저는 중간에다가 이런 식으로 쓴 것을 본 적이 없네요.

이것은 바로 문신(紋身)을 새긴 여인의 신체 위치입니다. 즉, 여인의 음부 왼쪽입니다.

김홍도는 여인의 몸에다 문신을 새겨본 경험이 있는 사람입니다.



자, 결론을 맺겠습니다. 주상관매도의 감상포인트는

1) '여인의 음모(淫毛)' 와 

2) 허벅지에다 새긴 '문신(紋身)'입니다.






‘心不在焉 視而不見 聽而不聞’ : ‘마음이 실리지 않으면 보되 보이는 것이 없고, 듣되 들리는 것이 없다.’

─ 보고 들을 때는 옛사람의 눈과 귀를 빌리고, 느낄 때는 옛사람의 머리와 마음을 얻어라.' 



 



 

          

은근하면서도 웃음 짓게 만드는 해학이죠.
노골적인 춘화도와 또 다른 차원의 맛이 있습니다.
이렇게 그림으로 성적인 것을 표현할 수 있음이...
정말 남다름이겠죠.


                 

이건 춘화나 해학이라기 보다 사람 놀리는 것 같아요.
사대부 식자층들을 가지고 노는 거죠. 당대 사람만이 아니라 2~3백년 뒤의 사람까지도. 



             

ㅋㅋ 그렇담 뱃속에 도깨비 열 두명은 감춘 사람일겝니다!
보통 뱃보 큰 사람이 아닙니다!
관 속에서도 웃었을 사람이구만요!
지금도 내려다보며 웃고 있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ㅋㅋㅋㅋㅋ


                  

뱃보가 큰게 아니죠. 사람들이 만만했던 거죠.
두보 시를 그래서 걸어논 겁니다. 알리바이로, 시비거리를 없애려구.
만일 그게 없으면 저처럼 가재미 눈으로 보는 녀석이 틀림없이 있었을 거거든요.
캐묻기 시작하면 다들 의심의 눈초리가 생길테고.....그러면 


             

한국화를 이렇게 자세한 해석을 따라서 보니 얼마나 재미난지 모르겠습니다.
그림 보는 법이 따로라도 있는 듯... 무료한 산수화라고만 생각했었는데, 아주 묘미를 맛봅니다!
독창적인 생각이라 더욱... 새롭습니다



                 

주상관매도(舟上觀梅圖)라면 배 위에서 ‘매화’를 감상한다는 뜻 아니겠습니까?
다시 본문으로 올라가서 그림 속의 매화나무를 보십시요. (매화나문지도 모르겠지만)
꽃이 보이십니까?
잘 보면 하얗게 반짝이는 듯한,
물방울 같이 영롱한 것이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죠?
그게 매화꽃이라는 것인데,,

그러나 제가 보기엔 김홍도는 ‘꽃으로’ 그린 게 아닙니다.
매화를 감상하는 그림이라면, 한 눈에 "아~ 저 매화꽃!" 할 수 있도록,
제대로 된 형체를 그렸던지 아니면 바로 연결지을 수 있는 은유를 했던가.이지.
제목에 <관매(觀梅)>라고 붙였으니 매화인 거지, 제목이 없다고 해보십쇼.

저것은 꽃을 빙자한, ‘이슬 머금은 '물기'’를 염두에 두고서 그린 거예요.
다시 말해서,,
신윤복의 <사시장춘(四時長春)>에서 폭포 밑에 매화꽃이 만발한 것은 性交後 발사한  ‘남자의 정액’을 그린 것이고,
이 그림 <주상관매도(舟上觀梅圖)>는 性交前에 머금는 ‘여자의 거시기’를 그린 것입니다.
이제 이해가 되시죠?


                 

옛그림 평론하는 사람들의 말을 가만히 들어보면 전제가 깔려 있습니다.
화가를 당대 최고의 지식층, 賢士쯤으로 올려놓아요.
그리고는 그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다 그 수준으로  치켜올려 붙이는 겁니다. 
마치 안빈낙도를 즐기며 격조 있는 문인화를 그렸던 元末4大家라도 되는 양.

김홍도 같은 도화서 화원들이 누굽니까? 중인(中人)계급이예요.
아무리 똑똑해도 양반처럼은 살 수가 없는 신분사회.
─ 출신의 한계를 숙명이거니, 분노가 있다한들 표출도 못하고 살던 시대입니다.
다시 말해서 중인계급은 아무리 학문이 깊어도 사대부가 될 수 없어요.
그러니까 경서를 외우고 시문을 짓고하는 깊은 공부를 할 이유도 없었고, 그럴 여가도 없던 사람들입니다.
(박제가 등등의 통역관들은 입장이 좀 다릅니다.)
                 
1) 어릴 때부터 탁월하게 그림 그리는 재능을 보인 아이들 중에서,
2) 오랜 화업 수련을 거친 후에,
3) 국가자격시험에 합격해서 도화서 화원이 되는 겁니다.

양반들 과거시험 공부하듯, 경문(經文)을 깊이 공부할 새가 어디 있습니까?
‘고고한 정신세계’ ???,, ‘안빈낙도’ ???  <-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입니다.
먹고살자고 화공, 화원이 되는 거예요.
더러는 평민이 중인이 된 경우도 있을 수 있겠고,
중인계급의 직업치고도 괜찮은 축에 들 겁니다.
또 권문세가의 양반들을 접촉할 기회가 많았을테니까,호가호위도 했을테고......

그때나 지금이나 똑같지요. 9급 7급 공무원이 무슨놈에 원대한 포부나 이상이 있겠어요.


                  

식자층에선 서로 유식한 체, 잘난 체하는 경쟁이 있었겠죠.   
누가 그림이나 글씨를 보는 안목이 높은지...... 누가 몇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지.....
김홍도 같은 유명 화공의 그림은 한 점에 집 한 채 값이었다는데......

이건 제 짐작인데,, 유식한 체할 때, 이때 튀는 요령이 있습니다.
화원한테 그림을 구매하면서, 그림 속에 숨은 얘기를 샤악~ 들어놨다가
시침 뚝 떼고는 비평을 하면서 제 안목 자랑을 하는 거지요.
오주석이 김홍도의 <씨름>을 해설하듯이 했다면 사람들이 얼마나 탄복을 했겠습니까?
......  <- 인기 짱인 거죠.

자, 그러면 다른 친구들은 멍챙입니까?
어쭈구리? 요놈봐라??? 그렇다면 나도!
.... “먹쇠야! 김홍도 좀 오라캐라! 사람들 눈에 띄지 않도록!”     
          
“야, 홍도야! 나도 그림 하나 그려다구!  야리꾸리 난해하게. 아무도 모르는 걸로다.”
“무슨 말씀인지는 알아듣겠사오나, 제가 요즘은 통 시간이 없어서리…~~”
“알았어! 알았어! 내가 값을 두 배로 쳐줄게!  아니, 세 배!”
 “아~ 이거 어쩐다아……~~~”

왕이라고 달랐겠어요? 
대신들이 이 귀퉁이 저 귀퉁이서 만화책 서로 빌려보듯 쓩쓩거리는 눈치를 보면 임금도 궁금했겠죠.
“야, 환관 머시깽이야,, 저것들이 뭘 갖고 저렇게 재밌게 떠든대냐?”
“어제 좌상과 우상이 김홍도 그림을 놓고 한판 붙었사온데......”
“흠. 그래서?”

 “안되겠다,, 야, 김상궁아! 야밤에 아무도 모르게 홍도를 내게 들여보내라잉!”
“홍도야, 이리 가까이 온나! 급히 그림 하나 그려줘야 쓰것다!”
“분부만 하소서!”
“분부고 지랄이고,, 고농축 추리소설을 하나 그려 와라잉!”
..........
..........
스토리가 이렇게 되는 겁니다.
돈도 벌고, 妓房에서 양반술도 얻어먹고, 권문세가와 안면도 트고, .... , 
한탕 제대로 치루고나면 위세도 호기도 부릴 수 있는 위치를 확보할 뿐더러 장안 백성들에게도 인기가 쑥쑥!

아마도 그러다보면, ‘양반들 별 거 아니구나, 똑같이 어리석구나’, ... ,
경멸의 감정도 생겨났을테고,
그들을 조롱하는 암호도 그려 넣지 않았겠나.

그러나 반대로
양반들과 사귀면서 얻어들은 풍월도 많았을 것입니다. 더불어 유식해진 거죠. 
문벌세가의 누가 뭣뭣을 좋아하는지, 취향이 어떠한지...... 정보력도 빵빵해졌겠다,
그림 주문을 받으면 화제로 뭔 글귀를 넣겠다는,,
미리 매뉴얼을 만들어서 수첩에 적어 놓는 거지요.
(주문이 밀리는데, 그때 그때 무슨 수로 글귀를 떠올린답니까?)

           

제가 농담이나 구라를 치자는 것이 아니라, 당시의 시대상을 유추해보면 그럴 듯하잖습니까?
소위 미술 평론을 한다는 사람들은 이런 걸 나보다 더 잘 알텐데

왜 그렇게 얼척없는 소리들을 해쌌는지 그 이유를 모르겠어요.
"학처럼 고고하고", "소나무처럼 기상이 거시기 하고", "대나무처럼 절개가 굳고",

......... 조각배 띄워놓고, 뼁끼그림 같은 곳에서 안빈낙도하는.........

사람 보기조차 힘든(동네도 없는) 두메산골짝에서,  

초가집 한 채 지어놓고, <─ 누가 지은 집인지, 어떻게 구입한 집인지, 알아본 사람 있음메????

혼자 살면서도 어린 동자나 계집애를 종으로 부립디다? ..  술은 누가 뭘로 담글까? 

ㅋㅋㅎㅎ

여러분 주위에 國展이나 新春文藝에 입선한 화가나 문인들 보셨습니까?
그 분들의 정신세계가 그렇데 고고하고, 고상하고, 우아하고, 해박하고, 거시기 합디까? 

말이 되는 소리를 해야지 말이야.

김홍도가 정조한테 이쁘게 보여서, 연풍에 현감 자리를 얻어 내려간 적이 있었수.
현감 노릇 잘 합디까?

에이그~ .... 평생 그림밖에 모르던 사람이 무슨 면장을 해요?  그러니,

2년도 안돼서 비리에 연루돼 의금부에 잡혀올라오게 생겼었잖아요. 정조가 쪽팔림을 당하며 풀어줬구만.


우리 김홍도, 슈퍼맨도 아니고, 고고한 사람도 아니고, 그저 그림 그리는 재주 하나 비상했던 사람이예요.

잔머리는 기막히게 발달했을.......



와아~ '에필로그'가 쥑이는군요!
김홍도의 그림을 먼저 선보이면서 '프롤로그',
글을 붙여쓰시니 '모놀로그'... 댓글을 달면서 대화가 되니 '다이얼로그'...
블로그 글이니 '블.로그'...
완벽한 화음입니다! 짝! 짝! 짝!



 





- 김홍도 年譜 -


*1774년 강세황이 서울에서 안산시 부곡동 처가 근처로 이사옴.
1745(영조21)년 金海 金氏 중인 집안에서 출생,
증조부는 萬戶(종4품). 부친 金錫武 는 벼슬없음

소년기 - 10대 : 安山에서 유명한 문인화가 강세황(姜世晃)과 문학가 이용휴(李用休)의 가르침을 받음으로서
문예 전반의 교양을 쌓음.
10대말 - 20초 : 도화서 화원이 됨.
20대부터 명성 날림.


1765(영조41)년 (21세) :《景賢堂受爵圖?屛》을 그림(그림은 전하지 않음).
1773(영조49)년 (29세) : 英祖御眞 및 世孫(正祖)의 초상을 그리는데 동참화사
1776(영조52)년 (32세) : 봄 호암미술관 소장 《群仙圖》8첩병풍

※ 3월 5일 英祖 승하, 正祖 즉위.

1778(정조 2)년 (34세) :《行旅風俗圖》 8첩병풍, <西園雅集圖>扇面,<西園雅集圖>6첩병풍
1779(정조 3)년 (35세) :《神仙圖》 8첩병풍(국립박물관), <松月圖>
1781(정조 5)년 (37세) : * 眞率會. <仕女圖>, <正祖御眞>(31세상), 《慕堂平生圖》8첩병풍
1782(정조 6)년 (38세) : <南極星圖>
1783(정조 7)년 (39세) : 12월 28일 경상도 安奇察訪 임명(이후 1786년 5월까지 2년4개월간 재임).
1784(정조 8)년 (40세) : 燈淸閣雅集. 淸凉山 遊覽 <檀園圖>
1786(정조10)년 (42세) : "湛樂薺"懸板(안동인근 풍산읍 상리동 宣城李氏 ?華亭)
5월 경상감사 김상철과 이병모의 선정비 세움(현재 안동시립민속박물관 뜰).
5월 안기찰방 임기를 마치고 강세황에게 「檀園記」를 청해 받음
<安陵新迎圖>(原本은 전하지 않음).

1787(정조11)년 (43세) : 李漢鎭과 <寧靜帖>을 합작
1788(정조12)년 (44세) : <金泥竹鶴圖>선면, <金泥花鳥圖>>선면.
隱巖雅集, 4월2일 李德懋의 부친의 71세 생일잔치에참석, 가을 金剛山 寫景.
1789(정조13)년 (45세) : 對馬島에 가서 지도를 그림. ※ 顯隆園 영건.
1790(정조14)년 (46세) : ※龍珠寺 창건, <騎驢遠遊圖>선면, 《十老圖象帖》 (강세황과 합작)

1791(정조15)년 (47세) : ※강세황 卒(79세), <松石園詩社夜宴圖>, <정조어진>,
12월 22일 충청도 延豊縣監 임명.
1792(정조16)년 (48세) : 연초 연풍현감 부임.
公靜山 上菴寺에 기우제와 시주. 이때쯤 아들 金良驥 출생. 9월 李光燮, 李漢鎭, 黃運祚 등과 西原雅集.
1793(정조17)년 (49세) : 연풍현감 재임. ※봄 작년에 이어 三南에 가뭄과 기근.
1794(정조18)년 (50세) : 연풍현감 재임. ※3년 연이어 三南에 큰 기근.
1795(정조19)년 (51세) : ※1월 7일 연풍현감 해임.

※윤2월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華城).

『園幸乙卯整理儀軌』圖設 삽화, 《을묘년화첩》, 《풍속도8첩병풍》
1796(정조20)년 (52세) : 《병진년화첩》(檀園折世帖), 『佛設大報父母恩重經』再刊.
<徐直修肖像>, 《園幸乙卯整理所?屛》(수원능행도).
※8월 19일 華城 완공, 水原行宮에 排設한 병풍 ?本華城秋八景圖 그림.

1797(정조21)년 (53세) : 『五倫行實圖』
1798(정조22)년 (54세) : <海山仙鶴圖>
1799(정조23)년 (55세) : ※ 이 무렵부터 만년에 쓴 書簡과 詩文이 《檀園遺墨》
1800(정조24)년 (56세) : 正初 歲畵 《朱夫子詩意圖>, 8첩병풍

※6월 28일 正祖 갑자기 승하함.

1801(순조 1)년 (57세) : 《三公不換圖?屛》
1802(순조 2)년 (58세) : <滄波圖>선면, <老僧觀瀾圖>, <歸漁圖>
1803(순조 3)년 (59세) : <冠巖圖> 그림( 《高山九曲圖12첩》 병풍 중 제3폭).
1804(순조 4)년 (60세) : 이무렵 천식 등 병고로 시달림.
5월 5일 규장각 차비대령화원으로 처음 差定 됨. <耆老世聯契圖>, <                                                                                                                                                                                                                                                                                                                                                                                                                                                                         <老梅圖>, <知章騎馬圖>
1805(순조 5)년 (61세) : 8월 규장각 차비대령화원 祿取才에 마지막 참여함.<秋聲賦圖>

1809년말 이후 1809년 이전 어느 때 죽음.

1809(순조 9)년 : 純祖가 《海山帖》을 洪顯周에게 下賜함.
1818(순조18)년 : 아들 김양기가 《檀園遺墨》을 만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