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美를 만나는 법』

2018. 5. 16. 20:40미술/미술 이야기 (책)

 

 

 

 

이 책은 ‘한국미는 과연 무엇인가’ 이 같은 질문을 던져 호기심을 유발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엮은 것으로, 한국의 문화와 정신에 관심 있는 사람에게 진지하게 탐색하고픈 물음과 질문이 되어 줄 것이다. 이 책은 한국미를 추상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박물관이나 고궁 등 우리 주변 공간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문화재를 통해 한국미의 이모저모를 편안하게 들여다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도자기, 불상, 석조문화재, 범종, 그림 등 다양한 장르의 문화재를 통해 한국미의 여러 표정을 만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편안하고 좀 더 구체적으로 한국미를 이해할 수 있다. 국내에 적지 않은 문화재 책이 나와 있으나 ‘한국미’라는 하나의 주제에 초점을 맞춰 한국미의 다양한 표정을 탐색한 책은 드문 편이다.

 

 

 

한국미를 만나는 법 2013. 2.

 

 

 

 

저자 이광표는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서울대 대학원 국문학과를 나와 1993년 동아일보에 입사해 우리 문화재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널리 알리는 글을 써 왔다. 이후 홍익대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과정과 고려대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과정에서 공부했다.
저서 : 손안의 박물관, 명품의 탕생, 국보이야기, 살아있는 문화재 1,2
한국 미술의 美 (공저), 한국미를 만나는 법

 

 

 

 

 

 

머리말_ 한국미를 만나는 첫 걸음 · 4
프롤로그_ 한국미를 보는 눈 · 10

제1부 한국미의 표정들

철화무늬, 그 자유분방함 · 16
백자달항아리, 넉넉함과 그윽함 · 25
반가사유상, 종교적 사유의 미 · 37
돌, 변함없이 견디는 힘 · 48
문창살, 전통 건축의 또다른 멋 · 56
한국종의 미학 ①
보신각 동종, 평화와 행복을 꿈꾸는 지상의 소리 · 63
한국종의 미학 ②
성덕대왕신종, 불국토를 향한 원융의 소리 · 69
돌다리, 떠나고 돌아옴의 미학 · 78
신라 토우, 에로티시즘과 미니멀리즘 그리고 인간 순수 · 88
명동성당 한국은행 서울역, 근대건축 100년의 영욕 · 96

제2부 옛그림의 아름다움

저 묵직한 그리움, 정선의 인왕제색도 · 113
달빛 아래 두 사람의 마음, 신윤복의 월하정인 · 119
메질과 담금질의 정겨움, 김득신의 대장간 · 123
낭만적인 수집벽, 심사정의 선유도와 김홍도의 포의풍류도 · 131
세상의 먼지를 씻는 법, 이경윤의 고사탁족도 · 139
새해를 맞이하는 선비들의 마음, 이인문의 송하담소도 · 143
죽음에 대한 운명적인 예감, 최북의 풍설야귀인 · 147
기분 좋게 취한 어느 가을날, 김후신의 대쾌도 · 151
은근하여 더 뜨거운 춘정, 신윤복의 사시장춘 · 153
부끄러운 그리움, 조선시대 미인도 · 157
파격의 화법 새로운 세계, 강세황의 영통동구도 · 163
시리도록 투명한 가을밤, 김홍도의 소림명월도 · 167
금강산 앞에서 만나는 삶의 심연, 이인문의 단발령망금강 · 169
울울창창 국토에 대한 자신감, 정선의 만폭동도 · 173
터질 듯 싱그러운 포도빛, 황집중의 묵포도도 · 177
정신을 흔들어 깨우는 댓바람소리, 이정의 풍죽도 · 179
내면 갈등의 미학적 구현, 이인상의 설송도와 검선도 · 183
시련을 견디는 법, 이하응의 석란 · 191
문인화의 청신한 변신, 전기의 매화초옥도 · 195
분분이 흩날리는 탐미, 조희룡의 홍매도 · 199
건강과 행복을 기원함, 김홍도의 황묘농접도 · 205
나비들의 표정과 몸짓, 남계우의 군접화훼도 · 207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작자미상 모란도 · 211
허공에 떠다니는 몇 송이 꽃, 김수철의 자양화도 · 215
저리도 따사로운 모정, 이암의 모견도 · 219
처연하고 우울한 자화상, 심사정의 딱따구리 · 223
화면 밖으로 뛰쳐나오는 기와 세, 전 심사정의 맹호도 · 227
출렁거리는 산세의 율동감, 강희언의 인왕산도 · 233
내면의 순수 대왕의 꿈, 정조의 국화도 · 235
금기에 대한 도전, 신윤복의 연당의 여인 · 239

제3부 문화재를 보는 눈

석굴암 유감 · 244
시안西安과 경주慶州 · 253
숭례문을 위하여 · 263
광화문, 흔적이 사라진다 · 270
나무에 대한 예의 · 278
문화재와 돈, 역사와 돈 · 284
화폐 속의 역사인물과 문화재 · 292

 

 

 

 

 

 

 

 

 

1

 

獨 에카르트 : 균형감과 평온, 화려한 장식보다는 단순하고 담백한 아름다움.

우현 고유섭 : 無기교의 기교, 구수한 큰 맛.

야나기 무네요시 : 비애의 미, 애수의 미.

혜곡 최순우 : 단순과 질박미, 적재적소주의, 익살과 해학.

삼불 김원용 : 자연의 미, 자연주의 미.

 

 

 

 




 

백자철화끈무늬병 - 보물 제1060호 / 15세기 - 국립중앙박물관


 

 

분청사기철화풀무늬대접 /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 국립중앙박물관

 

 

 

분청철화연못·새·물고기무늬장군 / 15세기 -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

연못의 풍경을 생동감 있고 재미있게 포착한 조선 도공의 시선이 예사롭지 않다.

 

 

 

백자철화풀무늬병 / 17세기 - 호텔프리마뮤지엄

풀 한 포기를 이렇게 간략하면서도 세련되게 표현할 수 있을까. 절제의 미학, 추상의 미학. 

 

 

 

호텔프리마뮤지엄에 전시중인 조선 철화백자들

 

 

 

백자철화국화무늬항아리 / 17세기 - 호림박물관
활짝 핀 국화 네 송이의 모습이 단순한듯하지만 경쾌하면서 모던한 분위기를 담고 있다.

 

 

 

백자철화포도무늬항아리 / 국보 107호, 18세기 전반 - 이화여대박물관. 

 

 

 

분청사기철화풀무늬병 / 16세기 -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

병 위쪽에 여백을 두고 표면 아래쪽에 풀무늬를 간략하면서도 세련되게 표현했다.

풀무늬의 살아움직이는 듯 그 율동감이 경쾌하게 다가온다.

 

 

 

백자철화구름용무늬항아리 / 17세기 - 국립중앙박물관

 

글, 사진 - 이광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달항아리(보물 제1437호, 左)와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달항아리(국보 제309호, 右)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달항아리(보물 제1437호, 左)와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달항아리(국보 제309호, 右)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 소장 달항아리
▲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 소장 달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