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아! 이거 아닌게뷔다.
전문가들이 아니랜다.
다시 생각해봐야쓰것다. 이거 무시해라.
천격/利格(장년)
┌------------------------------------------┐
1 李 ○ ○
└-------┚└------------------┚└-------------------┚
형격/인격(중년) 원격/지격(초년)
(미래) (환경)
총격( 한 사람에 대한 지배력/ 말년)
이씨 성의 경우
성과 이름 (획수) 오행
7 / 8 / 10 (25) 金土金
7 / 8 / 16 (31) 金土火
7 / 8 / 17 (32) 金土土
7 / 9 / 8 (24) 金土金
7 / 9 / 15 (31) 金土火
7 / 9 / 16 (32) 金土土
7 / 10 / 6 (23) 金金土
7 / 11 / 5 (23) 金金土
7 / 11 / 14 (32) 金金土
7 / 22 / 10 (39) 金水木
7 / 6 / 10
7 / 8 / 8
7 / 8 / 24
돌림자가 揆인데, 金克木, 돌림자를 쓰면 안되겠군.
※
원,형,이,정의 한자(漢字)획수가 ( 34 ) ( 28 ) ( 22 )의 수는 사용하지말아야 한다.
10, 12, 14, 19, 20, 22, 28, 34, 40,의 획수도 피하는 것이 좋다.
남자에게는 21, 23, 33, 39수는 '기백박력수(氣魄迫力수)'이면서 아주 좋은 수이다.,
길한 획수 : 1, 3, 5, 6, 7, 8, 11, 13, 15, 16, 17, 18, 21, 23, 24, 25, 29, 31, 32, 33, 35, 37, 39, 41, 45, 47, 48, 52, 61, 63, 65, 67,
리더가 될 운 : 21, 23, 33, 39
부자운 : 15, 16, 24, 41, 52
1) 일단 우리말로 부르기 좋은 이름을 찾고,
2) 획수 합이( 34 ) ( 28 ) ( 22 ) 만 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3) 또봉이가 금(金)이 많은 사주이니,
ⅰ 금(金)을 살릴 수 있도록,
ⅱ 화극금 ·금극목을 빼고,
ⅲ 토생금 ·금생수로 찾을 진져,
4) 그렇다면 李씨 사주 중에 7 / 8 / 17 (32) 와 7 / 9 / 16 (32) 金土土 뿐 아닌가????
5) 내 사주가 화(火) 기운이 센 사주인데,
아들은 토(土) 기운이 센 사주이고,
손자 또봉이는 금(金) 기운이 센 사주이니,
화생토(火生土) → 토생금(土生金), 기막힌 사주 내림이로다. (^___^))
그러면 저 숫자 조합은 누가, 무슨 근거로 만들었을까?
반드시 피해야 할 숫자가 22, 28, 34 뿐이라곤 하지만
막상 한번 지어보면 저 세 개를 벗어나기가 쉽지 않은 일이다.
하물며 10, 12, 14, 19, 20, 22, 28, 34, 40,까지라면야, 빠져나갈 길이 없다.
그러나 저 도표대로 하면 그럴 일이 없더라.
누적 경험치인지, 수리 계산식인지 모르겠지만, 암튼 저 대로 하면 된다.
그런데 저 오행표는 아닌 것 같다.
이(李)가 어떻게 금(金)이 될 수 있겠냐?
당연히 목(木)이라고 봐야지.
한글 ‘아音’이 어금니 소리라서 금(金)이라고 하는 모양인데,
가당치도 않다.
李는 목(木) 중에서도 강한 목(木)이다.
자두, 신맛을 생각해 봐라.
실제로도 전주 이씨들 보면 백발백중 목(木)기운이 강하다.
전주이씨 중에 술 못 마시는 사람이 없다. 다들 주당들이다.
절대로 금(金)체질의 사람들이 아니다.
하여, 저 도표에서의 오행은 무시하기로 한다.
( 1· 2는 木, 3 ·4는 火, 5 ·6은 土, 7· 8은 金, 9· 10은 水, ?????)
그러니까 오행을 보자면 각 글자를 풀어봐야 될 일이다.
도서관 가서 글자를 온통 다 뒤져봤다.
이름자에 어울릴만한 글자는 얼마 안되더라.
8획 : 承 / 武 / 旼(화락할 민) / 旻(하늘 민) /
9획 ; 厚 / 省 / 洋 / 亮(밝을량) / 洪 / 宣(베풀선) / 昭(밝을소) / 俊(준걸준) / 柱 / 彦(선비언) / 泳 / 泓(깊을홍)
10획 : 祚(복조) / 峻(높을준) / 洙 / 修 / 珍 / 純 / 容 / 哲 / 彩 / 祐(도울우) / 徐
11획 ; 涇(통할경) / 那(클나, 어찌나) / 程(헤아릴정,평상정) / 英 / 浚(깊을준) / 報 / 常 / 晟(밝을성) /
12획 :
14획 : 綱(벼리강) / 碩(클석) / 叡(밝을예)
6획 : 丞(도울승) / 先 / 印 / 宇 / 守 / 仲(버금중) /
5획 : 玄 / 世 / 白 / 民 / 弘(넓을홍) / 永(길영) /
16획 ; 勳 / 憲 / 穆 / 疆 / 錫(주석석) / 叡(밝을예) / 衡(저울형)
17획 : 濬(칠준,깊을준) / 鐘 / 鮮 / 檀
18획 : 鎔(녹일용) / 鎬(호경호)
될법한 이름자를 만들어봤다. 역시 몇 개 안 나온다.
그리고 보다시피 괜찮은 이름자가 없다.
아, 그래서 작명소에서 지은 이름들이 다 기성품 같았구나!
창조해서 맞추려면 머리 쥐난다. 누가 그런 짓 하겠냐?
8 / 10 (25) 金土金 - 승우 / 승채 / 승준 // 민선 / 민준/ 민홍 / 민우
8 / 16 (31) 金土火 - 승선 / 승석 / 승형 // 민석 / 민형 /
8 / 17 (32) 金土土 - 승준 / 승종 /
9 / 8 (24) 金土金 - 선민 /
9 / 15 (31) 金土火
9 / 16 (32) 金土土 - 홍석 / 준훈 / 준헌 / 준석 / 준형 // 영석 /
10 / 6 (23) 金金土 - 준선 / 준수 / 채인 /
11 / 5 (23) 金金土 - 성현 / 성세 / 성백 / 성민 / 성홍 / 성영 //
11 / 14 (32) 金金土 - 성강 / 보석 / 준석 / 정석 /
= 또봉이 사주 =
乙未 년 砂中金
辛巳 월 白蠟金
癸卯 일 金箔金
丁巳 시 沙中土
음 력 | 2015-04-10 巳時 | 평달 |
양 력 | 2015-05-27 수요일 (1세) | |
대 운 | 7년 1월 24일 (적용 기준일) |
時 | 日 | 月 | 年 |
偏財 | 我身 | 偏印 | 食神 |
丁 | 癸 | 辛 | 乙 |
巳 | 卯 | 巳 | 未 |
正財 | 食神 | 正財 | 偏官 |
戊庚丙 | 甲乙 | 戊庚丙 | 丁乙己 |
沙中土 | 金箔金 | 白蠟金 | 砂中金 |
驛馬殺 | 將星殺 | 驛馬殺 | 華蓋殺 |
|
|
|
|
|
|
|
|
|
|
|
李 徽 17획
※ ‘빛날 휘(輝)’보다는 ‘아름다울 휘(徽)’가 나을 듯하다.
형격 7획 金
지격 17획 金
이격 24획 火
총격 24획 火
이 이름자가 맘에 들었는데,
火克金, 이건 아닌가메
또봉아, 이것이 네 이름이다.
이격 / 12 木
┌-----------------------------------┐
李 7 金(木) 밝을晟 11 木(火) 흰白 5 土(金)
└-----------------┚└---------------┚
형격 / 18 金 원격 / 16 土
총격 / 23 火
남자에게는 21, 23, 33, 39 수는 '기백박력(氣魄迫力) 수' 이면서 아주 좋은 수이다.
수리오행상으로 좋다는 조합 7 / 11 / 5 이다. 크게 트집 잡힐 일은 없을 터이다.
나는 낱글자 획수의 수리오행은 관심두지 않는다고 미리 말했다..
‘글자’ 자체의 생김새로 오행의 성질을 정해야 맞다고 보는데,
이(李)는 木, 성(晟)은 날日자가 있어 火일 것이고, 백(白)은 흰백이니 당연히 金이어서,
전체로 ‘木·火·金’, 즉 木生火, 火克金, 金克木, 관계인데
또봉이 金이 약한 金 (사중금 / 백납금 / 금박금) 이어서 金克木은 별문제가 아니겠고,
火克金이 다소 걸리지만, 원격은 초년운이라 했으니,
제 아비의 土기운이 강해서 능히 눌러줄 것이다. 보라, 원격(지격)이 土가 아닌가.
그리고 원형이정법상의 원격, 형격, 이격, 총격을 보면 각기 土, 金, 木, 火 이다.
즉 土生金, 金克木, 木生火, 火生土, 관계다. 매우 잘 어울리는 조합이다.
또봉이 사주가 매우 좋은 사주라서 이름자의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다.
할배 노릇하기가 쉽지 않도다.
'이런 저런 내 얘기들 > 지산이 房'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또봉이 이제 잘 노네? (0) | 2015.06.15 |
---|---|
또봉이 이름, 다시 짓기로..... (0) | 2015.06.11 |
또봉이 3. 75키로 나간다네요. (0) | 2015.06.08 |
지난번에 사돈이 그럽디다, ‘축하합니다!’ (0) | 2015.06.03 |
아무래도『또봉이房』을 따로 하나 만들어야 겠수 (0) | 201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