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 펌글 · 자료/역사

『일본탐독』

 

 

 

일본 탐독(인문에세이 5)

 

 

 

소설가인 저자가 30여 년 동안 관찰한 일본에 대해 일본의 정체와 일본인의 심성 일반을 풀어 우리와 어떻게 다른지를 모색하고 있는 일본 체험기이자 일본 탐문기이다. 종교, 음식, 목욕, 야구, 문학 등 정치, 사회, 문화를 넘나드는 작가의 고찰이 흥미롭게 그려지고 있다.
1부 일본열도 탐험에서는 일본의 현주소에 대한 저자의 한때 생체험을 곧이곧대로 적바림하고 난 후 오늘의 시점에서 당대 전반을 후일담 형식으로 성찰하였고, 2부 일본이라는 독서 체험에서는 일본의 여러 저작물 중 우리말로 옮겨진 것들을 읽고 난 후의 독후감을 즉흥적으로 재생시키면서 나름의 저화취미를 방자하게 꾸렸다고 한다.
저자는 일본을 머리 없는 세계, 일본인을 세계 없는 머리라고 표현하고 있다. 일에만 파뭍혀 사회나 세계로 눈을 돌리지 않는 일본인, 그들이 구축해온 자족적인 세계 안에서 변화를 저항하며 국수주의적인 성향의 뿌리를 찾아낸 듯 하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이렇게 비판적인 고찰뿐만 아니라 전통을 지키는 일본인의 모습 등에서 자괴와 부러움을 밝히기도 했다.

 

저자 : 김원우
저자 김원우는 1947년생. 소설가. 등단 이래 읽으면서 쓰고 쓰면서 읽는 한결같은 걸음을 걸어왔다. 그의 소설 문장은 이제 그 자체로 한국어의 개별 장르이자 계보가 되면서 우리 삶의 세부를 켜고 전망의 허실을 가늠하는 특별한 상징이자 희한한 은유의 자리에 이르고 있다. 소설집 『무기질 청년』 『장애물 경주』 『세 자매 이야기』 『아득한 나날』 『벌거벗은 마음』 『안팎에서 길들이기』 『객수산록』 등과, 장편소설 『짐승의 시간』 『가슴 없는 세상』 『일인극 가족』 『모노가미의 새 얼굴(전2권)』 『모서리에서의 인생독법』 『돌풍전후』 『부부의 초상』 등을 썼다. 한국창작문학상, 동인문학상, 동서문학상, 대산문학상을 수상했다.

 

 

 

머리말

제1부 일본 열도 탐험

1. 일본, 머리 없는 세계
후일담 1 ‘자족적 세계’의 처세술

2. 농부들은 더 바쁘다
후일담 2 조선 사람이 못 따라갈 일본 농가

3. 히로시마 원폭피해, 그 비극의 내면화와 외면화
후일담 3 전쟁의 상흔을 견뎌내는 법

4. 사토시마 어부의 소원
후일담 4 ‘작명’으로 꿰뚫는 본심

5. 일본의 그늘, 메시아를 기다리는 낙오자들
후일담 5 하바리 인생들을 담는 르포 사진작가

6. 고도古都의 슬럼가
후일담 6 교토의 진풍경 하나

7. ‘모성’에 길들여진 사회
후일담 7 실속 좋은 ‘세속화’

8. 캠퍼스의 ‘우량아’들
후일담 8 오늘날 ‘지식 산업’의 처방전

9. 일본 예찬을 대하는 불편함
후일담 9 독학으로 빚어내는 자기완성주의

10. ‘죽음관리 회사’, 사찰寺刹
후일담 10 일본 불교의 제도, 단가의 그늘

11. 여자 단기대短期大의 생명력
후일담 11 ‘낭비’의 잣대로 살펴본 대학과 교육

12. 료칸이 살아 있는 한
후일담 12 일본 미학의 한 자락

13. 북방정책의 승리, 홋카이도 개척
후일담 13 그는 아이누족이었을까?

14. 지방 잡지의 왕국
후일담 14 구레와의 묘한 인연

15. 재일동포의 양극화 현상과 일본의 심상 구조
후일담 15 이중 잣대로 본 재일동포 귀화 문제

16. 일본의 한국 ‘연구’
후일담 16 일본인의 어학 천착벽과 애호벽

17. 한 일본인의 인생유전
후일담 17 회색빛의 무상한 해후

18. 에로틱한 풍속의 나라
후일담 18 일본식 섹스 산업의 독보적(?) 성취

19. 지방자치제와 가짜 전문가
후일담 19 분업화와 세분화의 미덕

20. ‘일본 읽기’의 길
후일담 20 ‘친일파’에게 바람

제2부 일본이라는 독서 체험

1. 국수國樹에 대하여
2. 일본 작가들의 난해한 정직성
3. 무미無味 예찬
4. 한반도는 일본의 안방인가
5. 건강제일주의자의 수선스러움
6. 우리 출판문화에 대한 단상
7. 일본 목욕탕의 남녀평등 신조
8. 벚꽃놀이 중에 잃어버린 가방
9. 프로야구와 현대소설
10. 음식자랑에 대하여
11. 이노우에 야스시에게서 배워야 할 것들

꼬리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