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 펌글 · 자료/역사

《한국 풍수 인물사》

 

 

 

 

『한국풍수인물사』는 자생 풍수의 비조인 도선 국사와 묘청, 풍수승들, 조선 건국의 주역인 무학 대사와 세종대왕 등 저자는 이들을 통하여 우리 풍수에 묏자리 잡기에 연연하는 음택풍수만이 아닌 치유와 비보로서 자생 풍수가 이어져 왔음을 밝힌다. 아울러 풍수가 현실을 바꾸고 새 시대를 여는 민중들의 열망을 담아 온 그릇임을 동학의 주역들과 실학자들을통해 추적하고 있다.

 

 

 

한국풍수인물사

 

 

 

머리말
자연에 관한 통념 | 재앙으로서의 자연 | 아름다운 자연 | 아름다움은 연민의 정이다


서론

 


《1부 자생 풍수의 기원》

1장 자생 풍수는 주관적 명당론이다


2장 풍수 성립 이전의 지리관


1. 풍수의 정의
2. 풍수의 기원에 관한 논의
3. 고대 풍수의 흔적들 1: 나주 마한 고분군, 고성 고분군, 김수로왕릉
4. 고대 풍수의 흔적들 2: 안악 3호분
· 자생 풍수의 특징 개연성: 그럴듯하고, 효과도 있다


3장 최초의 기록들: 탈해왕과 선덕여왕


1. 탈해왕
2. 선덕여왕
3. 성기 지명과 도갑사
· 자생 풍수의 특징 상보성: 인간도 주인이고, 자연도 주인이다



《2부 도선 국사》


4장 도선의 등장


1. 도선은 누구인가
2. 도선의 출생 배경
3. 도선의 편력
4. 『도선비결』
민족주의 풍수 터, 실상사



5장 도선의 풍수 사상


1. 도선의 풍수는 자생 풍수인가
2. 도선 풍수 사상의 특징
3. 『도선답산가』와 『옥룡자유세비록』
· 자생 풍수의 특징 비보성: 고침의 지리학


6장 도선의 흔적들


동리산 태안사 | 화순군 운주사 | 포천 왕궁리 오층 석탑 | 광주 백마산 | 비보 풍수의 사례: 개성 | 도선의 입적지: 광양 옥룡사 | 도선의 자취를 찾아서: 광양 옥룡사지


7장 도선의 후예들


1. 도선의 제자들
2. 통맥(通脈) 풍수
3. 묘청과 신돈
묘청 | 묘청이 꿈꾸던 서경: 평양 답사기 | 신돈 | 개혁가로서의 신돈 | 땡추 이야기 | 비보 풍수 답사기: 정방산 성불사
4. 고려 풍수의 황혼
교과서 같은 명당, 공민왕릉 | 우리 풍수의 전형, 태조 왕건릉 | 자연과의 조화, 개경 만월대 | 도선의 국역(國域) 비보
· 자생 풍수의 특징 정치성: 새로운 세상의 꿈

 



《3부 무학 대사》


8장 무학의 생애


1. 무학의 등장
2. 무학의 출생 설화
3. 무학에 관한 기록들
성수산 상이암 설화 | 마이산의 시 | 무학과 왕실의 관계 | 무학에 관한 폄훼 | 『무학비기』 | 한양 도성 쌓기 전설 | 무학이 가려진 이유
· 자생 풍수의 특징 자애성: 내가 중심이다
무학의 비보 풍수 | 호압사와 사자암 | 무학의 부도 | 태조의 건원릉 | 양주 회암사 답사기
· 자생 풍수의 특징 불명성: 비논리의 논리


9장 한양 전도


1. 서울의 수도로서의 역사
2. 서울의 주산 논쟁
3. 계룡산 전도 논의
계룡산의 풍수 | 그 밖의 후보지들 | 한양 방화책 | 권근과 권도 | 『택리지』의 설명
· 자생 풍수의 특징 적응성: 삶의 모든 분야와 연결된다


 


《4부 조선의 풍수가들》


10장 조선 전기의 풍수가들


11장 세종대왕과 과학 풍수


12장 선조의 사대주의 풍수


13장 조선 중기의 풍수가들


1. 남사고
2. 이지함
3. 이의신과 교하천도론
교하 답사기
4. 박상의
· 자생 풍수의 특징 편의성: 이상보다 현실에 충실하기

 



《5부 자생 풍수의 낙일》


14장 이중환과 정약용


1. 이중환과 『택리지』
2. 정약용의 지리관


15장 홍경래에서 동학까지


1. 홍경래의 서북 민란
2. 홍경래에서 전봉준으로
3. 전봉준과 동학
정읍 동학 답사기 | 최제우 | 낙일의 잔영, 전북 진안군의 비보 사례


 


《6부 자생 풍수의 계보와 현재》


16장 결국 자생 풍수란 무엇인가?


1. 사람과 땅 사이의 상생 조화
2. 자생 풍수에서 터 잡는 방법

 



결론 및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