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t forget to 1993" (보스니아 모스타르)

2013. 10. 21. 21:53발칸반도

 

 

 

유고 내전 - 보스니아 내전 - 코소보 사태에 대한 사건 개요는 밑에 첨부해 놨습니다.

일단 여기서는 보스니아 모르타르 지역의 문제만 다.

보스니아 내전이 봉합돼가는 과정에서 세르비아계 사람들이 쫒겨간 상황에서부터 시작합니다.

 

*

*

 

이곳 모스타르는 로마가 동·서로마로 분열될 당시에 아래 보이는 '네레트바 강'을 경계선으로 하였답니다.

江 서쪽은 카톨릭, 동쪽은 동방정교로 나뉘었던 것이죠.

훗날  발칸반도 전체가 오스만 제국의 이슬람 영향권에 들게 되면서 - 장장 600년간 -

오스만 제국의 이주정책으로 이 지역은 대부분 알바니아인의 삶의 터전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크로아티아 사람들이 슬금슬금 이주해오기 시작하더니  어느덧 30% 가량을 차지하게 됐습니다.

그렇더라도 사이좋게 잘 살았더랬답니다. 이슬람 문화는 타 종교도 수용하는 편입니다. 별 문제가 없었죠.

그러다가 이 보스니아 내전을 겪은 것인데,

 

보스니아 내전(크로아티아 보스니아 독립전쟁)  당시에는 크로아티아-보스니아가 연합하여 세르비아에 대항해서 싸웠습니다.

그런데 세르비아계가 퇴각하자, 이번에는 난데 없이 크로아티아계가 어제의 동지였던 보스니아( 알바니아인)에게 총부리를

돌렸습니다. 알바니아 사람들로서는 아닌 밤중에 홍두깨였죠.

그런데 웃긴 것은, 낮에는 또 뒤섞여서 지내다가 밤이 되면 돌변해서 총질을 한단 겁니다.

알바니아계는 가난해서 겨우 소총으로 무장한 반면에,  크로아티아계는 소수라도 화력이 월등히 앞섰답니다.

알바니아인들을 점차 거주지를 떠날 수밖에 없게 되었고 졸지에 난민이 된 거죠.

- 이스라엘이 주인인 팔레스타인人들을  몰아낸 것과 똑같습니다.

지금은 평화를 되찾았다고 하지만, 감정이야 제대로이겠습니까?

 

알바니아 지역에 이렇게 써 있습니다. 

"Don't  forget  to 1993"

 

다리를 경계로 해서, 크로아티아계가 사는 신시가지와 알바니아계가 사는 구지역은  한눈에 봐도  빈부 차이가 확연하죠.

모스타르에서 사라예보 가는 길에 보면 빈집이 아주 많습니다. 외진 곳에는 오히려 사람이 살고 있는 집이 드물 정도인데,

그것은 대부분은 세르비아계 사람들이 살던 집이라더군요.

 

 

 

 

 

 

 

총질한 자국입니다. 폭격보다는 총탄자국이더군요.

 

 

 

 

 

이 다리가 그 다리입니다. 모스타르 다리

밑에 흐르는 강이  네레트바 강. (세르비아까지 흘러가는 건지, 세르비아에서 흘러오는 건지..)

원래의 뜻은 '오래된 다리'란 뜻인데, 지금은 '화해의 다리'라 부르더군요.

이슬람 양식의 아치형 다리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다리입니다. 길이 30미터, 높이 25미터.

다리 오른쪽이 크로아티아계. 왼쪽이 알바니아계.

 

 

 

 

 

 

 

 

 

 

 

 

 강물이 참 깊고 깨끗합니다. 탐스럽더군요.

보스니아는 원래 물이 좋답니다. 유일하게 수돗물을 먹을 수 있는 나라입니다.

 

 

 

 

 

 

 

 

 

 

 

 

 

 

 

 

 

 

 

 

 

 

 

 

 

 

 

바자르라곤 하는데, 지역주민을 위한 시장은 아니고 관광객을 상대로 장사하는.

 

 

 

 

 

*

 

 

 

 

 

 

 

 

 

 

 

 

 

보스니아에는 새로 조성된 공동묘지가 많이 눈에 띄더군요.

맨위에는 이슬람 묘지, 아래는 카톨릭 묘지.

 

 

 

 

 

 

 

펌) 다음 아고라 게시물에서

 


구공산권 몰락 이후 유럽에는 항구적인 평화가 도래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인종, 영토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발칸반도에서는 그렇지 못했다. 구 유고연방이 해체되면서 인위적으로 획정된 국경에서는 다민족, 다종교대립으로 갈등이 표출되기 시작했고 이는 결국 피의 내전으로 이어졌다. 발칸반도를 가리켜 세계는 유럽의 화약고(火藥庫)라 일컫는다.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6공화국, 2개자치주)
- 6공화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마케도니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2자치주: 코소보, 보이보디나(두 곳 모두 세르비아내에 있음)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해체로 생긴 나라들
- 크로아티아: 1991년 6월 독립을 선포하며 연방에서 탈퇴
- 슬로베니아: 1991년 6월 독립을 선포하며 연방에서 탈퇴
- 마케도니아: 1991년 9월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1992년 3월에 분리 독립.
- 신 유고연방(세르비아-몬테네그로): 각 공화국들의 독립으로 연방이 붕괴될 처지에 놓이자 두 공화국이 1992년 4월 신유고 연방을 결성.
- 몬테네그로: 2006년5월21일 신유고연방에서 분리독립결정

 

 

 

유고내전의 발생원인

 

1980년대 당시 유고슬라비아연방은 6개의 공화국과 2개의 자치주로 이루어져 있었다. 총인구는 2,702만명(1987년),1인당국민소득은 2,240달러였는데 문제는 각공화국간의 빈부격차가 상당히 심했다는 것이다. 가장 부유했던 곳은 공업지대인 슬로베니아와 아드리아해를 관광거점으로 하는 크로아티아였다. 하지만 그들은 나름대로 자신들이 피땀 흘려 번 돈의 대부분을 연방정부에서 흡수하여 다른 공화국의 빈민들을 구제하는데 사용하는데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1989년의 공산당의 붕괴와 동유럽의 개혁열풍은 90년대 들어 유고연방의 각공화국들에게도 예외 없이 불어 닥쳤다. 그로인해 공화국들은 독립을 갈구했고 1991년 6월 26일 슬로베니아가 독립을 선언하고 뒤이어 크로아티아도 유고연방을 탈퇴하며 독립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러나 각 공화국간에는 공화국내의 다민족, 다종교주의 등이 서로 얽혀 사태는 내분의 양상을 띠며 악화되어갔고 결국 패권을 쥐고 있던 세르비아와 독립을 선언한 각공화국들 사이에 유혈충돌이 발생하게 되었던 것이다.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의 독립으로 인해 유고연방이 해체될 조짐을 보이자 1991년 6월27일 유고슬라비아연방군은 이를 막기 위해 슬로베니아를 침공함으로써 분쟁은 시작되었다. 이후 싸움은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코소보 등지로 옮겨가면서 벌어졌다. 그 사이 주요 민족의 분포에 따라 6개 공화국, 2개 자치주로 이루어졌던 유고슬라비아연방국은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신유고 연방, 마케도니아 로 분리 독립되어, 민족간 대립을 격화시키며 현재에 이르렀다. 결국 유고내전은 유고슬라비아연방의 해체, 재편 과정에서 일어난 영토를 둘러싼 세르비아계와 타민족 간에 벌어진 내분이 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보스니아내전

유고연방국가들이 하나 둘 독립하자 1992년 3월3일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역시 국민투표를 통해 독립을 선포하였다. 그러나 독립의 선포는 곧 분쟁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독립을 주도한 세력은 회교도 중심인 보스니아 이슬람 정부와 이들 세력에 협조하는 보스니아 내 크로아티아인들이었다. 그러나 보스니아내 약 30%를 차지하는 세르비아인들은 보스니아 독립의 가부를 묻는 선거에 불참하면서 보스니아 독립에 협조하지 않았다. 그 중심엔 세르비아인들의 희망이었던 밀로세비치 세르비아대통령이 있었고 사실상 그의 지배하에 있던 유고연방이 해체 되는 것에 대해 적잖은 불만이 쌓여 있었다.

1992년 4월 6일 EU가 보스니아의 독립을 승인하자 보스니아는 본격적인 내전상태에 돌입하였다. 밀로세비치의 군대로 대변되는 유고연방군의 지원을 받는 세르비아계는 내전 초기 보스니아 영토의 약 70%를 일거에 장악하는 기세를 올렸다. 보스니아 사태가 위험 수위를 넘자 UN은 동년 5월 신유고연방에 대한 전면적인 금수조치, 항공봉쇄, 자산동결을 주 내용으로 하는 제재 조치를 취하였다. 신유고연방군은 곧 휴전에 합의하였지만 보스니아내 세르비아계는 휴전에 동의하지 않은 채 전쟁을 계속해 갔다.

유럽에서 냉전 시에도 없었던 민족간의 유혈사태가 내전으로 발전했음에도 UN은 군사행동의 가능성을 시사만할 뿐 직접적인 군사행동은 취하지 못했다. 그러나 보스니아 내전 중 세르비아계에 의한 소위 '인종청소'라 불리는 만행이 저질러지자 여태껏 미온적인 태도를 취하던 UN도 1992년 8월 군사개입을 결정할 수밖에 없었다. 3만 여명의 평화유지군이 보스니아에 파견되었으나 평화유지군의 역할은 미미하기만 하였고 내전은 휴전과 재확전이 반복되는 피의 악순환을 되풀이했다.

이러한 상황아래 러시아는 1995년 3월 보스니아사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제안을 하였다. 세르비아계를 암묵적으로 지원하고 있던 러시아는 세르비아 공화국이 보스니아 회교 정부와 크로아티아 정부를 승인하는 대가로 세르비아에 대한 UN의 제재를 해제하자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미국의 주도하에 보스니아,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등 내전 당사국들과 미국, EU, 러시아 등 중재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1995년 11월 1일 미국의 데이턴에서 평화협상이 개최되었다. 난항을 거듭하던 평화협정은 그해 12월‘데이턴 평화협정 ’체결로 보스니아에는 평화가 정착되는 시금석이 마련됐다.

이로써 25만 명 이상이 죽고 300만 이상의 난민을 발생시킨 보스니아 내전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 하지만 보스니아는 민족ㆍ종교적 이질감이 강하고 중앙정부의 권위가 약하여 통일된 주권국가로서의 한계 있고, 보스니아내 세르비아계를 얼마나 잘 통제하느냐에 따라 평화가 얼마나 지속될 것인가가 결정될 것이다.

 
‘코소보’ 독립분쟁

코소보는 중세 세르비아 왕국이 처음 세워진 곳이었다. 그런데 터키제국이 세르비아왕국을 점령하면서 코소보에 알바니아인을 집단 이주 정착시키면서 민족ㆍ종교적으로 알바니아인과 세르비아인간의 갈등은 싹트기 시작했다. 1945년 티토 대통령은 구 유고슬라비아 성립 후 코소보에 자치주의 지위를 부여하였으나, 1989년‘밀로셰비치’가 세르비아를 집권하면서‘대세르비아 건설’이라는 민족주의적 기치아래 세르비아내(?에 있던 코소보의 자치권을 박탈하였다. 이에 코소보 알바니아인(전체 200만중90%)은 이에 대항하여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을 요구하였고,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은 1992년 유고연방 국가들의 독립과 맞물려 마침내 코소보공화국을 선포하였다.

이로 인해 알바니아계와 세르비아계간의 빈번한 무력충돌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당시의 발칸반도의 정세는 보스니아 사태의 중요성이 워낙 컸으므로 상대적으로 코소보 문제는 쟁점화 되지 못했다. 그러다가 1995년 12월 데이튼 평화협정에 의해 보스니아 사태가 진정의 기미를 보이자  코소보 알바니아계는 코소보해방군(KLA)을 결성하여 본격적인 무장 투쟁 양상을 보였고, 이에 대해 세르비아도 코소보 해방군을 무력으로 강경 진압하면서 사태는 발발하였다.

1998년들어서도 세르비아의 무력에 항의하는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의 대규모 시위가 계속되고 이에 대해 세르비아가 강경 진압으로 대응하는 등 두 민족간의 분쟁이 확산되자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들은 신유고연방에 유사시 군사개입 및 경제제재 가능성을 강력히 경고하면서 평화적 해결을 위한 당사자 간 대화를 촉구하였다. 특히 미국은 신 유고연방과의 관계개선 방침을 철회하고 EU 의장국인 영국은 밀로셰비치 대통령을 만나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촉구하였다. 그러나 신유고연방의 밀로세비치대통령이 코소보문제를 순수한 국내문제로 간주하여 국제사회의 개입 및 코소보의 분리 독립을 거부하자, 이에 대해 코소보 알바니아인은 국제사회의 적극적 개입을 유도하였다.

NATO는 세르비아에 대해 즉각적으로 코소보에 대한 만행을 중지하라고 촉구하였으며, 만약 사태가 평화적으로 종결되지 않는다면 군사개입을 감행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 그러나 NATO의 이러한 입장에 대해 러시아와 중국은 코소보 사태에 대한 해결을 UN이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나토의 군사개입은 국제사회의 새로운 긴장을 고조시킬 뿐이라는 입장을 취하였다. 국제사회는 코소보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코소보내에 나토 평화유지군의 주둔을 골자로 하는‘랑부예 평화협정’을 세르비아가 수용하기를 요구하였으나, 밀로세비치는 외국군대를 자국내에 주둔시킬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며 평화협정 체결을 거부하였다.

결국 나토는 UN의 의결을 배제한 채 1999년 3월 24일 세르비아에 대한 공습을 감행하세 되었다. 나토의 공습이 감행되자 밀로세비치는 세르비아인들의 민족주의를 부추키며 결사항전의 의지를 천명하였고, 러시아는 나토의 유고공습이 제국주의적 만행이라고 비난하며 유고와의 연대를 표명하였다.그 표시로 러시아는 흑해함대 소속 군함 7척을 아드리아해에 파견하는 등 군사적 시위를 벌였다. 러시아의 맹렬한 반대에 부딪힌 나토는 러시아의 역할과 지위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고, 그로인해 러시아를 코소보분쟁 해결과정의 주요 주체로 부상케 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공습 초기 단기간의 공습으로 군사적 목표 달성을 자신했던 미국은 러시아의 강경한 태도와 제2의 베트남전을 우려하는 국내 여론에 밀려 지상군 파견을 하지 못한채 공습만을 계속하였다.

공습이 계속되는 가운데서도 나토와 러시아는 코소보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협상을 계속하였으며 5월20일 G7과 러시아가 코소보 평화안의 초안에 합의하자 유고정부는 마침내 코소보평화안을 수용할 것을 발표하면서 코소보 분쟁은 진정기미를 보이며 6월9일 나토와 유고가 유고군의 코소보 철군에 관한 군사실무협정에 합의함으로써 78일간 지속되던 코소보전쟁은 종결되었다.

그후 코소보에서는 평화유지군의 진주로 안정을 회복하는 듯 보였으나 알바니아계 와 세르비아계 사이에 크고 작은 유혈 충돌은 끊이지가 않았다. 코소보사태 는 발칸지역의 다른 분쟁과 마찬가지로 민족, 국경, 종교문제가 복잡하게 얽힌 분쟁이기 때문에 특성상 코소보의 자치권 획득과 분리 독립에 대해 양측의 의견 대립이 있을 경우 코소보 사태는 언제든 새로운 국면을 맞을 수 있다. <알바니아계 2,000명 이상 사망, 세르비아인 500명 사망 추정,120만 이상 난민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