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공터에서』

2020. 1. 26. 12:47책 · 펌글 · 자료/문학





공터에서  2017. 2. 3


공터에서 김훈 장편소설



책소개

우리 민족이 일본 제국주의에서 해방된 이후 한반도에 몰아친 비바람들

- 한국전쟁, 4·19, 5·16,  5·18,  6·10을 보고 겪은 작가 김훈.

김훈의 아홉 번째 장편소설『공터에서』는 이승만, 박정희 등을 거쳐 국가권력이 옮겨가는 것을 목격하며,

그에 따라 영광은 작고 치욕과 모멸은 많은 우리 삶의 꼴이 달라지고 있는 것을 자전적 경험을 실마리로 집필한 작품이다.

192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우리 현대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굵직한 사건들을

마씨(馬氏) 집안의 가장인 아버지 마동수와 그의 삶을 바라보며 성장한 아들들의 삶을 통해 이야기한다.

일제시대, 삶의 터전을 떠나 만주 일대를 떠돌 수밖에 없었던 아버지가 겪어낸 파란의 세월,

해방 이후 혼란스러운 시간과 연이어 겪게 되는 한국전쟁,

군부독재 시절의 폭압적인 분위기,

베트남전쟁에 파병된 한국인들의 비극적인 운명,

대통령의 급작스런 죽음,

세상을 떠도는 어지러운 말들을 막겠다는 언론통폐합,

이후 급속한 근대화와 함께 찾아온 자본의 물결까지 시대를 아우르는 사건들을 마씨 집안의 가족사에 담아냈다.

북한산 서쪽 언저리 바람받이 마을에 살고 있는 마동수는 3년째 암 투병 중으로,

전방 GOP에 복무 중인 상병 마차세가 정기휴가를 받고 집에 와 잠시 여자 친구를 만나러 외출한 사이에 홀로 세상을 떠난다.

그는 쇠약할 대로 쇠약해진 상태였고,

그의 아내 이도순은 연탄 두 장을 들고 얼어붙은 산비탈을 오르다 넘어져 고관절에 금이 가 병원에 입원 중이었다.

베트남전쟁 참전 후 전역해 괌에 정착해 있는 첫째 아들 마장세 대신 마동수의 장례는 둘째 아들 마차세 혼자서 치르게 된다.

장례식에는 생전 처음 보는 아버지의 옛 동지라는 남자들이 찾아와 술판을 벌이고 종잡을 수 없는 말들을 지껄인다.

죽음이 눈앞에 다가왔을 때 마동수는 열 살 위의 형 남수가 미국 국회의원단의 행렬을 보러 나갔다가

일본 경찰에게 잡혀 밤새 매를 맞은 남산경찰서 앞에서 형을 기다렸던 날의 기억을 떠올린다.

 59년 전 그날 새벽,

마동수는 남산경찰서 뒷골목 해장국집의 누린내 나는 김 속에서 국밥을 먹던 피투성이 사내들의 허기와

괜찮다, 너 돈 가졌냐, 밥 먹자, 배고프다던 형의 목소리와 함께 마지막 며칠을 견딘다.

어린 나이의 마동수에게도 세상은 무섭고, 달아날 수 없는 곳이었다.

변변치 않은 집안 살림임에도 일본 유학을 준비하던 고등보통학교 출신의 형 남수가 일본 경찰들에게 매 맞고 난 다음

친척집에서 요양하다 갑자기 사라진 지 10년 후,

동수는 형의 연락을 받고 서울에 어머니를 남겨두고 길림으로 향하는데…….





저자

김훈

김훈 소설가


1948년 서울 출생. 오랫동안 신문기자 생활을 했으며, 소설가이자 자전거레이서다.

에세이 --- '내가 읽은 책과 세상', '선택과 옹호', '문학기행1, 2'(공저)'풍경과 상처', '자전거 여행', ,

소설 --- '빗살무늬토기의 추억', '칼의 노래', '현의 노래', '강산무진' 등이 있다.

이상문학상, 동인문학상, 황순원문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삶의 양면적 진실에 대한 탐구,

삶의 긍정을 배면에 깐 탐미적 허무주의의 세계관,

남성성과 여성성이 혼재된 독특한 사유,

긴장과 열정 사이를 오가는 매혹적인 글쓰기로

모국어가 도달할 수 있는 산문 미학의 한 진경을 보여준다는 평을 받고 있다.






목차

아버지|동부전선|“난 괜찮다”|세느주점|하관(下棺)|남산경찰서|상해(上海)|공습|압록강|흥남|서울|부산|낙동강|아가미|미크로네시아|베트남|결혼|첫날밤|해직|당신의 손|국립묘지|오토바이|어머니|덫|편지|형제|기별|누니|린다|억새|말|귀향|봄 …

작가 후기|주석

 



책 속으로

마동수(馬東守)는 1979년 12월 20일 서울 서대문구 산외동 산18번지에서 죽었다.

마동수는 1910년 경술생(庚戌生) 개띠로,

서울에서 태어나 소년기를 보내고,

만주의 길림(吉林), 장춘(長春), 상해(上海)를 떠돌았고

해방 후에 서울로 돌아와서 625전쟁과 이승만, 박정희 대통령의 시대를 살고, 69세로 죽었다.

마동수가 죽던 해에, 중앙정보부장 김재규가 대통령 박정희를 권총으로 쏘아 죽였다.

박정희는 5, 6, 7, 8, 9대 대통령을 지냈다.

박정희는 심장에 총알을 맞고 쓰러져서, ‘괜찮다, 나는 괜찮아……’라고 중얼거렸다.

마동수의 죽음과 박정희의 죽음은 ‘죽었다’는 사실 이외에 아무 관련이 없다.

마동수의 생애에 특기할 만한 것은 없다.
마동수는 암 판정을 받은 지 3년 만에 죽었다.

간에서 시작된 암은 위와 창자로 퍼졌고 등뼈 속까지 스몄다.

 뼈가 삭아서 재채기를 하다가 관절이 어긋났다.

마동수의 암은 느리고 길었다.

몸이 무너져갈수록 암의 세력은 번성했고,

마동수의 숨이 끊어진 후에도 암은 사체 속에서 사흘 동안 살아 있다가 사체가 화장될 때 소멸했다.

마동수의 암은 인체에 기생하지만 인체와는 독립된 별도의 생명체였다.


―「아버지」 중에서



마차세는 대대본부 행정반에서 휴가증을 받았다.

비상계엄에 따른 휴가 정지가 해제된 후 처음 받는 휴가이므로

시국의 엄중함을 인식하고 휴가 기간 중에도 군기를 엄수하고, 부모에게 효도하고,

비상 연락망을 숙지하고 귀대 시간을 엄수하라고 선임하사가 말했다.

십이월 이십이일……. 마차세는 선임하사 앞에서 귀대 날짜를 세 번 복창하고 행정반을 나왔다.
보급계 사무실에서 오장춘(吳長春) 상병이 달려 나왔다.

오장춘은 마차세의 팔을 끌어서 휴게실로 들어갔다.

휴게실에는 아무도 없었다. 오장춘이 흰 봉투 한 개를 내밀었다.
― 야, 이거, 휴가 가서 술이나 한잔해라.
― 너, 이래도 되니?
― 니미……. 야, 누가 보겠다. 빨리 집어넣어.
오장춘이 준 봉투에는 2만 원이 들어 있었다. 상병 월급의 여섯 배가 넘었다.

오장춘은 대대본부 보급계에서 연료 담당 하사관의 조수 노릇을 하고 있었다.

운전병들이 제출하는 차량 운전 일지와 상부에 보고하는 서류 사이의 차이만큼의 연료가 암시장으로 새어 나가고 있었다.


―「동부전선」 중에서



보 도 자 료


공터에서



주점 안은 곱창 굽는 연기가 자욱했고, 술 취한 말들이 부딪쳤다.

다들 뭐라고 지껄였고, 말들이 들끓어서 아무 말도 들리지 않았다.

마차세는 편지를 접어서 윗주머니에 넣었다. 편지 속의 새를 생각했다.

주점에 모여든 사람들이, 불안해서 잠 못 드는 새 떼처럼 한 마리가 버스럭거리면 수천 마리가 일제히 날아오를 것처럼 보였다.

편지 속의 새들은 모여 있지만 따로따로였다. (……)


―휴가 나왔니? 추웠지. 서울이니?
라고 말했다. 박상희의 목소...리는 늘 비음(鼻音)이 섞여 있었다.

 ‘휴가 나왔니?’라고 말할 때 ‘니?’가 코 속에서 울렸다.

코 속이 아니라, 몸속의 깊은 동굴에서 울리는 소리처럼 들렸다.

 ‘니?’는 말하는 사람의 몸속을 통과해 나온 물기로 젖어 있었다.

박상희의 ‘니?’를 그림으로 그리자면 물 위에 번지는 동심원(同心圓)이 되겠지.

그 동그란 파문이 전화선을 타고 와서 마차세의 귀를 통해 몸속으로 들어왔다.

 ‘니?’는 동부전선 산악 고지와 서울 간의 거리를 단숨에 뛰어넘어서 마차세를 ‘니?’ 앞으로 몰아세웠다.


―「세느주점」 중에서

―난 아버지를 묻을 때 슬펐지만 좋았어.

한 세상이 참 힘들게 갔구나 싶었지.

이런 인생이 다시는 태어나지 않기를 빌면서 흙을 쾅쾅 밟았어.

형은 그 힘들게 지나간 자취가 너무 힘들어서 견딜 수 없는 거지.

형은 아버지를 피해 다니려다가 또 다른 수렁에 빠져가고 있는 게 아닐까?

난 여기서 살 거야. 나도 결혼했으니까 아버지가 되겠지.


―당신 피곤해? 우리 누울까?
―아냐, 괜찮아. 아까 식장에서 돈 뜯어 간 사람 누군지 알아?

혁명가야. 우리 아버지의 옛 동지래. 무슨 뜻이 같았는지는 모르겠지만.

그 사람이 아버지 대신 온 것 같아서 무섭더군. 아버지가 아직 안 죽은 것 같기도 했고.


―그래서 당신 오늘 힘들어 보였구나. 나도 그러리라고 짐작은 했어.
박상희는 이 가엾은 남편과 살아갈 날들이, 아득하게 느껴졌다.

살아온 날들의 시간과 거기에 쌓은 하중을 모두 짊어지고 한 번도 살아본 적이 없는 시간의 벌판을 건너가야 할 것이었다.

벌판은 저쪽 가장자리가 보이지 않았다.
―「첫날밤」 중에서


 

출판사서평

막막한 세상에서 몸 비빌 수 있는 작은 거점은 존재하는가?
적막한 세상을 응시하는 깊은 눈, 김훈 장편소설

출간 의의
“세상은 무섭고, 달아날 수 없는 곳이었다”
20세기 한국 현대사를 살아낸 아버지와 그 아들들의 비애로운 삶!



간략 줄거리


북한산 서쪽 언저리 바람받이 마을에 살고 있는 마동수는 전방 GOP에 복무 중인 상병 마차세가 정기휴가를 받고 집에 와 잠시 여자친구를 만나러 외출한 사이에 홀로 세상을 떠난다. 마동수는 3년째 암 투병 중이어서 쇠약할 대로 쇠약해진 상태였고, 그의 아내 이도순은 연탄 두 장을 들고 얼어붙은 산비탈을 오르다 넘어져 고관절에 금이 가 병원에 입원 중이었다. 첫째 아들 장세는 베트남전쟁 참전 후 전역해 괌에 정착해 있어 마동수의 장례는 둘째 아들 차세 혼자서 치른다. 장세는 아버지의 부음을 받고도 항공편이 맞지 않는다며 오지 않는다. 장례식에는 생전 처음 보는 아버지의 옛 동지라는 남자들이 찾아와 술판을 벌이고 종잡을 수 없는 말들을 지껄이는데…….
죽음이 눈앞에 다가왔을 때 마동수는 열 살 위의 형 남수가 미국 국회의원단의 행렬을 보러 나갔다가 일본 경찰에게 잡혀 밤새 매를 맞은 남산경찰서 앞에서 형을 기다렸던 날의 기억을 떠올린다. 마동수는 59년 전 그날 새벽, 남산경찰서 뒷골목 해장국집의 누린내... 나는 김 속에서 국밥을 먹던 피투성이 사내들의 허기와 괜찮다, 너 돈 가졌냐, 밥 먹자, 배고프다던 형의 목소리와 함께 마지막 며칠을 견딘다. 어린 나이의 마동수에게도 세상은 무섭고, 달아날 수 없는 곳이었다. 변변치 않은 집안 살림임에도 일본 유학을 준비하던 고등보통학교 출신의 형 남수가 일본 경찰들에게 매 맞고 난 다음 친척집에서 요양하다 갑자기 사라진 지 10년 후, 동수는 형의 연락을 받고 서울에 어머니를 남겨두고 길림으로 향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