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안에 들어앉으면 세월이 가면 노래가 나온다지?
박인환 (1926-1956)
1926년 강원도 인제 상동리에서 출생하였고, 11세에 서울로 이사하여 경성제일고보를 거쳐 평양의전을 중퇴하였다. 1946년 〈거리〉를 발표하여 등단하였다. 광복 후 서울에서 서점을 경영하였고, 1947년부터 경향신문 기자로 미국을 시찰하였다. 1949년 동인그룹 '후반기'를 발족하여 활동하였다. 1949년 5인 합동시집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을 발간하여 본격적인 모더니즘의 기수로 주목받았다. 1955년 《박인환 시선집》을 간행하였고 1956년 페노바르비탈을 과량 섭취하고 심장마비로 자택에서 사망하였다(향년 29세). 묘소는 망우리 공동묘지에 있다. 1976년에 시집 《목마와 숙녀》가 간행되었다.
부친이 인제면사무소 근무한 걸 보면 가정이 넉넉한 것도 아니었을텐데,
어떻게 서울 복판에다 서점을 내며, 한량으로 지낼 수가 있었을까?
영화제작자였던 남편이 일찍 죽자 이명숙 여사는 외동아들 최불암을 데리고 1950~60년대 명동에 대폿집 <은성>을 운영하였습니다. 김수영, 오상순, 박인환, 변영로, 전혜린, 천상병 등 문화예술인들의 사랑방 역할을 톡톡히 하였습니다.
세월이 가면(박인환 작시, 이진섭 작곡, 박인희 노래)
물자가 귀하던 때라 닥치는 대로 걸치고 살던 시대인데, 박인환만은 달랐습니다. 어디서 구했는지 외제 고급 천에 일류 양복점 라벨이 붙은 초콜릿색 싱글, 단정히 깎은 상고머리, 홍시빛 단색 넥타이, 커피색 양말, 초콜릿색 구두, 검정 박쥐 우산, ...... 박인환은 또한 계절마다 옷을 바꿔 입었는데, 봄 가을에는 아이보리 레인코트, 겨울에는 깃이 넓고 기장이 긴 쥐색빛 롱코트를 입었습니다. 심지어 계절마다 마시는 양주의 종류도 달랐습니다. 봄에는 진피즈, 가을에는 하이볼, 겨울에는 조니워커......
1955년 겨울에 명동에 3층 건물에 <동방싸롱>이 문을 열었습니다. 사업가 김동근씨가 예술인을 위해 지어준 당시로서는 최신식 건물이었습니다. 1층은 차와 간단한 술과 안주를 팔고, 2층은 집필실, 3층은 회의실로 구성된 종합문화회관이었습니다.
박인환이 모딜리아니를 좋아했답니다.
저 당시 사람이 모딜리아니를 어찌 알고서 좋아할 정도가 됐을까?
김수영의 모친은 충무로4가에서 <유명옥>이라는 빈대떡집을 운영하였습니다. 이곳은 현대 모더니즘 시운동이 시작된 곳으로 김수영, 박인환, 김경린, 등이 모여 . . . . .
이곳은 위스키 시음장으로 문을 연 뒤 값싼 양주를 공급해 예술인들의 사랑을 받았던 <포엠>입니다.
해방후 평양의학전문대학을 중퇴하고 서울로 돌아온 박인환은 종로3가 낙원동 입구에 시인 오장환이 운영하던 스무평 남짓한 서점을 인수하여 <마리서사>를 열었습니다. 마리서사에는 앙드레 보르통, 장 콕도 등 여러 문인들의 작품과 문예지, 화집들이 갖추어져 여러 시인과 소설가들이 자주 찾는 명소이자 한국 모더니즘 시운동이 일어난 발상지였습니다,. <마리서사>는 영리를 위한 사업이 아니라 청년 박인환이 문단에 데뷰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자 정신적 의지처 역할을 했습니다. (1945~1948년 운영)
(현인, 박인희 노래).
♤
박인환 문학관과 붙어 있길래 들려봤는데, 허허허허
인제군은 돈이 많은갑다.
사진을 보니 풍경이 눈에 익긴하는데......
♤
백종원도 들렸었다는 ‘인제 짜박두부집’ ─ 나는 합강리에 있다는 걸로 알았는데,
버스터미널 근처인, <박인환 문학관> 바로 앞에 있구만요.
백종원이 먹던 그 두부가 아닌 모양인갑다.
콩맛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것이, 슈퍼에서 파는 1000원짜리 두부와도 차이를 못 느끼겠습디다.
진동계곡《○○집》의 두부 맛도 좀 변하긴 했더구만은, 그래도 그 집은 그럭저럭 옛맛을 간직하고 있는 편인데,
이 집 두부는…… 영 아닙디다. (나 혼자만의 입맛이 아닙니다.)
오해는 마십시요. 두부가 그렇단 것이지 짜박두부는 맛이 괜찮습니다.
누구나 집에서 쉽게 만들어 먹을 수도 있어요.
1000원짜리 야들야들한 두부를 사다가,, 끓는 물에 들기름 붓고, 두부 넣고, 고추가루 파 썰어 넣으면 끝.
※
제 어머니가 하는 방식은 저 ‘짜박두부’란 것과 ‘두부전골’이라는 것의 중간쯤 방식인 것 같습니다.
보기엔 간단하니 쉬운데, 아무도 똑같은 맛을 내지 못하는 ─
물론 어머니가 만드셨던 두부는 비교불가입지요.
'산행기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교장 (0) | 2019.01.17 |
---|---|
(강릉) 참소리박물관 (0) | 2019.01.17 |
용대리 명태덕장 (0) | 2019.01.17 |
법성포 가서 점심을 먹을래거든《나리탕집》으로 가시구랴 (0) | 2019.01.07 |
고창읍성 (0) | 2019.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