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10. 4. 10:33ㆍ음악/쟈덜- f
신디 시핸(Cindy Sheehan)
이라크 전쟁에 대해 초기부터 의구심을 가지기는 했으나 그녀의 아들이 죽기 전까지는 특별한 활동을 벌이지는 않았다.
2004년 6월 아들 케이시 시핸이 전사하였다.
"부시 대통령은 매번 왜 전쟁을 치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그 이유가 틀린 것으로 밝혀질 때마다 말을 바꾸어왔다."라고 비판 하였다.
이후 이러한 비판적인 그녀의 말은 본격적으로 전쟁에 반대하는 행동으로 이어졌다.
2005년 1월 대통령 선서기간 동안 시핸은 전쟁의 참상을 보여주는 전사자들의 부츠를 전시하는 행사의 기조연설을 하였다.
여기서 그녀는 다른 전사자 가족들을 만날 수 있었으며 그들은 비슷한 처지의 전사자 가족들을 모아 단체를 만들기로 하였다.
그녀는 "평화를 위한 금성훈장수상자들의 가족회"의 창단 회원이었으며
2005년 1월부터 이 단체를 통해 미국의 이라크로부터의 철수와 부상자와 전사자들을 돕기 위한 행동에 나섰다.
휴가를 즐기던 부시 대통령의 프레리차펠 목장 근처에서 대통령 면담과 아들의 죽음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것이 국제적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후 계속된 반전 운동 활동을 통해 반전운동의 로자 파크스 와 피스 맘(Peace Mom)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백과사전)
2006년 '전쟁과 신자유주의 반대 재미협의회' 회원들과 함께 방한한 시핸은
미국의 침략전쟁을 반대하고 한국 정부의 태도 변화를 강력히 요구하는 말을 폭포처럼 쏟아냈다.
"부시 행정부는 이라크를 비롯해 중동을 무력화시킨 것처럼 한반도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다."
"이라크 파병을 철회하지 않고 있는 한국 정부는 평화를 위해 나서는 민중의 길을 막아서는 안 된다."
그는 '미국이 한반도에서 전쟁을 일으킬 것으로 보는가'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이제까지 펼쳐온 부시 행정부의 정책이 정신나가지 않았다고 볼 수 없는 만큼, 긴장을 놓지 않고 서로 연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핸은 이날 미군기지 반대 시위를 주도하다 징역 2년을 선고받고 복역 중인 평택시 대추리 김지태 이장의 어머니 황필순(76)씨를 만나,
"김지태씨는 내 아들 케이시처럼 신념이 강하고 용감했던 만큼 어머니도 자랑스러워 할 것이라 믿는다"며 "
정부는 이익과 권력을 따지며 우리가 좀더 강해지지 못하도록 협박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핸의 말을 듣던 황씨가 끝내 울음을 터뜨리자 두 사람은 한동안 부둥켜 안고 떨어질 줄 몰랐다.
(한겨레신문)
조안 바에즈(Joan Baez)
![](http://youni.biz/image/artist/Joan_Baez/joanbaez-rodydwl.jpg)
아버지로부터 전쟁이라는 것이 인류에게 끼치는 죄악을 배웠으며, 멕시코인 아버지를 둔 덕에 백인과 다른 인종으로서의 부당한 대접을 경험 했다. 이라크에서 생활하면서 문화적 이방인의 삶을 경험했으며, 캘리포니아의 비트, 히피 젊은이들을 겪으며 인류애와 평화에 대한 인식을 키우고, 마틴 루터 킹과 간디의 사상을 익혔다. 어린 시절 경험들이 그녀의 사상적 배경을 마련해 주었다면, 마지막으로 정착한 메사추세스는 그녀에게 음악적 길을 열어준 곳이었다.
15살에 이미 기타를 잡고 학교 합창단에서 노래한 경력이 있지만 그녀가 포크 음악에 자신의 인생을 맡기게 된 것은 당시 포크의 전설적 인물들이 자리했던 캠브릿지, 보스톤이라는 지역적 환경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보스턴 대학에 진학, 연극을 공부하기 시작했지만 이미 포크 음악에 경도된 그녀는 대부분의 시간을 포크 음악이 연주되는 커피하우스에서 보내고 있었다.
1961년 밥 딜런을 만나 그를 키우고, 음악적 동반자에서 연인으로까지 발전했던 그녀는 1965년 밥 딜런과 이성 관계에서의 이별을 고했다. 자신 음악의 많은 부분을 빚지고 있지만 저항 정신과 실천의 문제에 있어서 실망감을 갖게 되었거나, 애초에 음악적 동반자의 감정이 애정으로 발전했고, 결국 음악적 방향이 달라지면서 더 이상 이들이 함께할 이유가 없었는지도 모르겠다. 여하튼, 사적인 감정에서 이별을 고한 이들이지만 음악적인 부분에서는 여전히 동반자의 관계를 지속해 나갔다.
이미 딜런의 대표적인 반전 노래 ‘A Hard Rain’s A-Gonna Fall’이나 그의 곡 ‘Don’t Think Twice It’s All Right’, ‘Farewell, Angelina’ 등으로 잘 알려진 그녀였고, 이별 후인 1968년 딜런의 곡들을 두 장의 앨범에 담은 [Any Day Now]를 발표하기도 하였으며, 70년대 이후에도 ‘Forever Young’ 등 딜런의 곡을 버리지 않았으며, 함께 순회 공연을 펼치는 등 영원한 음악적 동반자로 남아 있다.
데이빗 해리스는 사상적, 실천적인 측면 이외에도 조안 바에즈의 음악에 큰 영향을 끼친다. 컨츄리 음악의 팬이었던 남편에게 선사하는 앨범인 만큼 이 앨범부터 그녀의 음악에는 컨츄리 성향이 가미되기 시작했으며, 이후 그녀의 음악은 정통 포크의 단순함을 벗고, 본의 아니게 대중성을 견지하게 되었다.
안 보면 마음이 멀어지기 때문인지, 이처럼 돈독한 모습을 보이던 이들이었지만 1971년 서로 떨어져 살게 되고 결국 이혼하고 만다.
철저한 행동주의자였던 데이빗 해리스와의 결별, 그 속에서 드러났을 수도 있는 공격적 참여에 대한 실망감 등이 그녀의 음악에 영향을 끼쳤다는 추측도 가능할 듯 하다. 여하튼, [Diamond & Rust]의 경우 올뮤직 가이드로부터 별 다섯 개를 얻고 있는 수작으로 꼽히고 있는 만큼 보컬, 사상, 실천성 뿐 아닌 음악적 부분에 있어서도 조안 바에즈는 정상의 가치를 만들어 내었다.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 Joan Baez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Long time passing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Long time ago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Young girls have picked them everyone
When will they ever learn?
When will they ever learn?
Where have all the young girls gone?
Long time passing
Where have all the young girls gone?
Long time ago
Where have all the young girls gone?
Gone to youngmen everyone
When will they ever learn?
When will they ever learn?
Where have all the youngmen gone?
Long time passing
Where have all the youngmen gone?
Long time ago
Where have all the youngmen gone
Gone to soldiers everyone
When will they ever learn?
When will they ever learn?
Where have all the soldiers gone
Long time passing
Where have all the soldiers gone
Long time ago
Where have all the soldiers gone
Gone to grave-yards everyone
When will they ever learn?
When will they ever learn?
Where have all the grave-yards gone
Long time passing
Where have all the grave-yards gone
Long time ago
Where have all the grave-yards gone
Gone to flowers everyone
When will they ever learn?
When will they ever learn?
꽃들은 모두 어디로 갔나?
많은 세월이 흘렀는데...
오래 전에 만발했던
꽃들은 모두 어디로 갔나
꽃들은 모두 어디로 갔나?
젊은 아가씨들이 모두 다 꺾어갔는데...
언제쯤이나 사람들은 그걸 알려나?
언제쯤이나 사람들은 그걸 알려나?
젊은 아가씨들은 모두 어디로 갔나?
많은 세월이 흘렀는데...
그 옛날 젊었던 아가씨들은
지금 모두 어디로 갔나?
젊은 아가씨들은 모두 어디로 갔나?
모두 다 젊은 청년들을 따라갔는데...
언제쯤이나 사람들은 그걸 알려나?
언제쯤이나 사람들은 그걸 알려나?
젊은이들은 모두 어디로 갔나?
많은 세월이 흘렀는데...
예전에 젊은 청년들은
지금 모두 어디로 갔나?
젊은이들은 모두 어디로 갔나 ?
모두 다 군인이 되었는데...
언제쯤이나 사람들은 그걸 알려나?
사람들은 언제쯤이나 그걸 알려나?
군인들은 모두 어디로 갔나?
세월이 많이 흘렀는데...
그 옛날 군인들은
모두 다 어디로 갔나?
군인들은 모두 다 어디로 갔나?
모두 다 무덤에 묻혀있는데...
사람들은 그걸 언제쯤이나 알게 되려나?
사람들은 그걸 언제쯤이나 알게 되려나?
무덤들은 모두 어디로 갔나?
세월이 많이 흘렀는데...
그 옛날 무덤들은
모두 다 어디로 갔나?
무덤들은 모두 다 어디로 갔나 ?
만발한 꽃들로 뒤덮혔는데...
언제쯤이나 사람들은 그걸 알게 되려나?
사람들은 언제쯤이나 그걸 알게 되려나?
원래 이 노래는 ─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 Pete Seeger
한국의 6,25, 동란과 베트남 전쟁을 배경으로 쓰여진 곡이며, 1955년에 Pete Seeger 자신이 작사 작곡 하였답니다. 음악가, 가수, 작곡가, 민속학자, 노동운동가, 환경론자, 평화 옹호자 등의 수식어가 붙는 20세기 folk 가수들의 대부인 Pete Seeger는 1919년 New York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 Charles Seeger는 저명한 음대 교수였고, 그의 어머니 Constance Seeger는 바이올린 연주가였기에 그가 음악적인 환경에서 자란 것은 너무나 자명한 일이었지요. 1936년 그는 난생 처음으로 5현악기 Banjo 연주 음악을 들었는데, 이를 계기로 그의 인생에 전환점이 되였답니다. Harvard 대학을 중퇴하고 1940년 Woody Guthrie와 Almanac Singers라는 Group을 결성했지요. 그 후 40년대 후반에는 Weavers라는 Group을 결성하여 자신의 이름을 널리 알리기 시작합니다. 그의 유명한 Folk Song으로는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We Shall Overcome", "If I Had a Hammer", "Turn! Turn! Turn!" 등이 있습니다. (펌)
'음악 > 쟈덜- f'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는 강도다 (0) | 2015.10.13 |
---|---|
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 (0) | 2015.10.12 |
러시아 노래 (0) | 2015.07.16 |
Jakie Evancho. (American got talent ) (0) | 2015.06.26 |
La Paloma / Nana Mouskouri (0) | 201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