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9
《그림의 힘》저자 김선현 교수가 전하는 ‘나’와의 아름다운 화해!
『화해』는 그림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미술치료를 통해 우리와 사회를 위로하는 저자 김선현 교수가 20년간 현장에서 마주한 미술치료 체험담과 미술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엮은 1대1 상담힐링서다. 마음 아픈 이들이 스스로 자신의 트라우마를 직면하고 이해해 마침내 ‘나와의 화해’를 이끌어낸다는 콘셉트로 우리들의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따뜻한 책이다.
자기관리 중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것 중 하나가 ‘마음관리’다. 행복의 가장 최우선 과제 역시 마음관리라 할 수 있다. 외부환경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지켜낼 수 있는 마음의 면역력을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저자는 자신의 마음이 어떠한지를 스스로 돌아보고 자기조절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책은 트라우마를 표현한 다양한 미술작품을 통해 독자들이 이를 직접 대면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미술작품을 통해 나의 과거에 들어가고, 나의 현재를 짚어보며, 나의 미래에 대해 희망을 갖는 것으로 나를 스스로 돌아본다. 이를 통해 나를 아프게 하는 것이 무엇이었는지, 어떻게 더 행복해지고 더 편안해질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하게 한다. 마음관리를 통해 기쁘면 기쁜 대로, 슬프면 슬픈 대로 인지하고 자기조절 자세를 갖춘다면 지금보다 더 용기있고 행복한 삶에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저자 김선현
- 저서(총 42권)
예술을 사랑해서 미술을 전공했고, 작가로 활동했다. 강의와 실습을 지도하던 중, 눈에 띄게 밝아진 아이들과 스트레스로부터 차츰 벗어나는 사람들을 보고 그림이 갖는 치료적 힘에 눈을 떴다. ‘그림으로 작품을 완성하는 건 나 혼자만의 만족이지만, 미술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도 희망과 도움을 줄 수 있다.’ 그 가능성에 인생을 걸어보자고 생각했다.주위의 만류와 반대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선 불모지나 다름없던 미술치료 분야에 뛰어들었다.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 취득 후, 동양인 최초로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 부속병원에서 예술치료 인턴 과정을 수료했다. 일본에서는 외국인 최초로 임상미술사 자격을 취득했고, 일본 기무라 클리닉 및 미국 MD앤더슨암센터 예술치료 과정을 거쳐 프랑스 미술치료 Professional 과정까지 마쳤다. 미국미술치료학회(AATA) 정회원으로도 활동 중이다.현재 차(CHA)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원장과 차병원 임상미술치료클리닉 교수로 재직 중이며, 그간의 활동과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작년에는 세계미술치료학회(WCAT) 초대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세월호 사고 학생들은 물론, 천안함 사건 유족, 연평도 포격 피해 주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동일본 대지진 피해 일본인까지, ‘국가적 트라우마’ 현장에 곧바로 초빙되어 많은 이들의 아픈 마음을 전문적으로 치유해온 미술치료계의 최고 권위자다. TV나 신문, 잡지 등의 언론에서는 사람들의 심리를 다루게 되는 사회적 이슈가 있을 때 가장 먼저 그녀를 인터뷰한다. 최근에는 일본에서 UN 초청 강의를 가졌다.그동안 집필한 책으로는 『그려요 내 마음, 그래요 내 마음』 『그림 속에서 나를 만나다』 『컬러가 내 몸을 바꾼다』 『엄마는 아이의 마음주치의』 『추억의 시간』『그림의 힘』『그림의 힘Ⅱ』 등 다수가 있다.
- 작가의 말 우리 모두에게 ‘화해’와 ‘사랑’이 필요한 시간입니다
Recipe 1 모든 것은 다 지나간다
따스한 엄마 품이 그리울 때 ▶ 부모의 죽음
함께한 삶을 정리하다 ▶ 부모의 이혼
부모의 위로가 필요할 때 ▶ 무관심한 부모
사랑받고 싶어요 ▶ 편애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어요 ▶ 과잉보호
나도 인정받고 싶어요 ▶ 타인의 시선
‘자기대상화 (self objectification theory)’ 란 자신을 타인의 눈으로 바라보고 자신에 대한 타인의 관점을 중요시 여기는 것을 말합니다.
Recipe 2 상처받은 아이가 어른이 된다는 것
넘어져도 괜찮아 ▶ 실패
견디는 것이 인생이야 ▶ 시련
그 누구와도 마음을 나눌 수 없어요 ▶ 고립감
몰입의 즐거움 ▶ 불안
고요한 ‘혼자’의 힘 ▶ 외로움
다시 사랑할 수 있을까요 ▶ 실연
다른 삶을 선택하다 ▶ 사랑의 상처
아픔도 힘이 된다 ▶ 이별
새로운 사랑이 두려워요 ▶ 이별 그리고 시작
세상과의 끈이 끊어진 듯해요 ▶ 실직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 사랑하는 이의 죽음
참을 수가 없어요 ▶ 분노조절 장애
기댈 데가 없어요 ▶ 중독
하루도 쉬운 날이 없어요 ▶ 우울증
부서진 나 ▶ 몸과 마음의 고통
아무것도 하기 싫어요 ▶ 무기력
마음을 터놓을 아무도 없다는 생각이 들 때 ▶ 고독
Recipe 3 너도 행복해질 수 있어
늙어간다는 것 ▶ 나이듦
이제 아무도 믿지 않아요 ▶ 사랑하는 이의 배신
다시는 볼 수 없어요 ▶ 아이를 잃었을 때
나 자신이 원망스러워요 ▶ 가난
아이도 나도 아파요 ▶ 육아 스트레스
마음을 다스릴 수 없어요 ▶ 분노
아름다워지고 싶어요 ▶ 외모 콤플렉스
걱정 때문에 잠도 오지 않아요 ▶ 고민
Recipe 4 ‘나’와 화해하기
과거와 작별하라 ▶ 새로운 시작
내 인생의 주인공은 나 ▶ 스스로 당당해지기
마음의 꽃꽂이 ▶ 아름다움을 즐길 권리
마음의 면역력을 키우는 시간 ▶ 고요함을 즐기기
새로운 세계로의 첫 걸음 ▶ 숨 고르기
엑셀러레이터에서 잠시 발을 떼고 ▶ 속도 조절
인생의 아름다운 변주곡, 사랑 ▶ 또 다른 시작
행복한 기억의 힘 ▶ 나로부터의 치유
상처받지 않은 사람은 없어요 ▶ 나와의 화해 , 타인과의- ★★☆
니콜라이 야로센코(Nikolai Alexandrovich Yaroshenko) 1846~1898
삶은 어느 곳에나 있지 The Life is everywhere / 212cm x 106cm / 1888
청강생 Course Attendant / 131cm x 81cm / 1883
따뜻한 곳에서 In Warmer Lands / 107cm x 81cm / 1880
죄수 The Prisoner / 143.1cm x 107.6cm / 1878
첫 아이의 장례 Funeral of Firstborn / 1893
'미술 > 미술 이야기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카소의 파리』 (0) | 2017.02.09 |
---|---|
그림의 역사 (A History of pictures) - 데이비드 호크니 & 마틴 게이퍼드 (0) | 2017.02.08 |
『나를 설레게 한 유럽 미술관 산책』 (0) | 2017.02.03 |
이중섭,<돌아오지 않는 강> (0) | 2017.02.01 |
『고양이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0) | 2017.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