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10. 13
저자 미야시타 기쿠로
- 저서(총 1권)
-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 17세기 바로크 미술, 일본 근대미술에 조예가 깊은 미술사가로서 미술 작품에 대한 에세이를 쓰거나 강의를 하고 있다. 평소 폭음폭식하는 B급 식도락가를 자칭하는 그는, 음식에 대한 애정이 미술에 대한 흥미를 압도할 지경에 이르자 미술과 음식의 관계에 대해 체계적으로 생각해 보고자 이 책을 쓰기 시작했다. 그는 미각을 자극하는 미술 작품의 쾌락과 관능을 칭송하는가 하면, 결국 먹는다는 것이 삶과 죽음을 어떻게 연결하는지에 대한 미술사적 고찰을 통해 풍요로운 해석을 보여 준다. 도쿄 대학교에서 미술사학을 전공한 후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인문과학 연구과를 수료했다. 효고 현립 근대 미술관과 도쿄 현대 미술관의 학예연구원을 거쳐 현재 고베 대학교 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5년에 쓴 『카라바조-성성聖性과 비전』으로 산토리 학예상과 일본 지중해학회에서 수여하는 헤렌드 상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는 『바로크 미술의 성립』『이탈리아 바로크-미술과 건축』『카라바조』『모딜리아니-몽파르나스의 전설』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서양화를 전공한 후,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과정에서 미술이론을 공부했다. 일본 우키요에浮世繪와 양풍화洋風畵에 대한 논문을 썼다. 학부에서는 그림을 그렸고, 현재 미술책 저술과 번역을 병행하며 미술사를 다각도에서 조명하는 작업을 선보이고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미술 글쓰기를 주제로 강의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영화와 소설 등에 등장하는 미술을 인문학적 시선으로 탐구한 『미술 영화 거들떠 보고서』(지안, 2006), 미술계를 뒤흔든 위작과 도난 사건을 입체적으로 파헤친 『위작과 도난의 미술사』(한길아트, 2008), 일본 에도시대의 풍속화 우키요에를 섬세한 필치로 펼쳐 보인 『유혹하는 그림, 우키요에』(아트북스, 2009), 말 그대로 '눈을 속이는 그림' 트롱프뢰유를 소개한 『눈속임 그림』 등이 있고, 『무서운 그림』(세미콜론, 2008), 『맛있는 그림』(바다출판사, 2009), 『다케시의 낙서입문』을 우리말로 옮겼다.
역자 서문
개
-남편에 대한 정절
돼지
-탐욕과 음욕
원숭이
-이단과 음욕
닭
-사도 베드로의 지물
고양이
-악마의 화신
쥐
-불행한 성녀의 지물
비둘기
-성령과 평화
토끼
-음욕
양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어린양
사자
-모든 짐승의 왕
소
-유럽이라는 말의 기원
독수리
-사람을 습격하는 맹금전설
도마뱀
-냉혈함과 무감동
뱀
-사악함
용
-동서양에서 선악이 대조
호랑이
-서양미술에는 거의 나오지 않는 동물
말
-위엄과 권력
나귀
-무지와 나태
까마귀
-길흉을 예고하는 새
공작
-부활과 오만
나비
-인간의 영혼
물고기
-그리스도
연어
-신성한 음식
고기
-정물 모티프로 안성맞춤
과일
-석류는 예수의 부활을 상징
포도
-가장 성스러운 과일
빵
-죄를 회개하는 음식
치즈
-소박한 성찬
콩
-서민이 먹는 대표적 음식
감자
-가난한 사람들의 먹을거리
해바라기
-주군에 대한 충성
장미
-사랑의 시련과 예수의 수난
갈대
-대표적 수난도구
씨
-씨를 뿌리는 이는 예수 그리스도
달
-성모 마리아
별
-신이나 신성
번개
-동서양 모두 신이 다루는 것
무지개
-세계의 평화
폭포
-서양에서 보기 드문 기이한 풍경
화살
-페스트
등불
-성스러운 것의 근원
거울
-좋은 의미거나 나쁜 의미
편지
-배후의 그림으로 내용을 암시
저울
-정의의 의인상
책
-지식의 원천과 허식
모래시계
-유한한 시간
가면
-기만
바니타스
-부질없음
십자가
-원래는 잔혹한 처형기구
수레바퀴
-운명의 흥망
배
-교회
철도
-기계문명
문
-예수 자신이 천국의 문
문짝
-경계나 통과
창문
-회화의 메타포
사다리
-천국으로 통하는 길
다리
-두 세계를 잇는 길
갈림길
-운명의 선택
머리카락
-힘과 관능의 근원
심장
-감정의 중심
피
-존귀한 성유물
알몸
-죄 혹은 무구함
맨발과 신발
-신 앞에서의 예의
성애
-허망함
자애
-기독교 최상의 미덕
꿈
-신의 계시
저자 후기
'미술 > 미술 이야기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드리히,「해변의 수도승」 (0) | 2016.04.10 |
---|---|
일리아 레핀 복습 (0) | 2016.04.07 |
오늘은 여길 가보려고 합니다. <루벤스와 세기의 거장들>과 <변월룡 회고전> (0) | 2016.03.30 |
『남겨진 자들을 위한 미술』 (0) | 2016.03.29 |
『앤디 워홀의 철학』 (0) | 2016.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