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펌))
1.
고운사는 신라 신문왕 원년(서기 681년)에 해동 화엄종의 시조이신 의상대사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부용반개형상(연꽃이 반쯤 핀 형국)의 천하명당에 위치한 이 사찰은 원래 高雲寺였다. 신라말 불교와 유교ㆍ도교에 모두 통달하여 신선이 되었다는 최치원이 여지ㆍ여사 양대사와 함께 가운루(경북 유형문화재 제151호)와 우화루를 건축한 이후 그의 호인 孤雲을 빌어서 孤雲寺로 바뀌게 되었다.
고려 태조 왕건의 스승이자 풍수지리사상의 시조로 받들어지는 도선국사가 가람을 크게 일으켜 세웠으며 그 당시 사찰의 규모가 五法堂十房舍(5동의 법당과 10개의 요사채)였다고 한다. 현존하는 약사전의 부처님(보물 제246호)과 나한전 앞의 삼층석탑(경북 문화재자료 제28호)은 도선국사께서 조성하신 것들이다.
특히 고운사는 해동제일지장도량이라 불리는 지장보살영험성지이다. 옛부터 죽어서 저승에 가면 염라대왕이 고운사에 다녀왔느냐고 물었다고 하는데 지장보살님의 원만자비하신 풍모는 물론이거니와 명부십대왕의 상호와 복장도 다른 사찰에서는 보기 힘든 위엄과 정교함을 자랑한다.
일제시대에는 조선불교 31총본산의 하나였고 지금은 조계종 제16교구의 본사로 의성, 안동, 영주, 봉화, 영양에 산재한 60여 대소사찰들을 관장하고 있다. 사세가 번창했을 당시에는 366간의 건물에 200여 대중이 상주했던 대도량이 해방이후 쇄락하여 많은 사찰재산이 망실되고 지금은 이십여명 대중이 상주하는 교구본사로는 작은 규모의 사찰로 전락하였다.
하지만 10여년전부터 중창불사의 뜨거운 원력으로 주변을 정리하고 낡은 건물들을 수리 및 단청하여 지금은 위풍당당한 본산의 위상과 소박하고 절제된 수행지로서의 이미지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 정도 규모 이상의 고찰로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입장료를 받지 않는 고운사는 민가로부터 3km 정도 떨어져 오염되지 않은 순수함을 자랑하며 일주문에 이르는 솔밭 사이 비포장길은 부처님께 진실된 마음으로 다소곳이 다가서는 불자들의 마음처럼 포근하고 정감넘치는 모양을 하고 있다.
청정하고 엄격한 수행가풍을 자랑하는 고금당선원에서 정진하는 스님들을 비롯한 고운사의 모든 대중들은 위로는 진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제도하는 대승불교의 참모습을 구현하기 위해 새벽의 찬공기를 가르며 부처님전에 발원을 멈추지 않는다.
- <고운사 홈페이지에서>
2.
의상스님과 최치원의 만남이 빚어낸 仙境
출처 : http://www.ibulgyo.com/archive2007/201009/201009041283596140.asp
남안동 IC를 빠져 나와 10여 ㎞를 달리면 고운사에 다다른다. 고운사 입구에는 연밭이 있다. 꽃잎을 다 잃은 연밥들이 연못위로 빠끔 고개를 내밀고 있다.
연못 건너편엔 의상스님의 ‘화엄일승법계도’를 숲으로 조성한 ‘법계도인림’이 조성되어 있다. 의상스님이 광대무변한 화엄사상의 요지를 210자의 게송으로 압축한 것으로 “가지가지의 꽃으로 장엄한 일승(一乘)의 진리로운 세계의 모습”이라는 뜻이며 <삼국유사>에는 ‘법계도서인’ ‘화엄일승법계도’ ‘화엄법계도’ ‘일승법계도’ ‘법성도’ ‘해인도’ 등으로 기록되고 있다. 법계도 모양의 길에 나무를 심고 숲을 조성한 ‘법계도인림’을 따라 54번 꺾인 곳을 들어가다 보면 중앙에 청정법신 비로자나부처님을 친견하고 깨달음으로 나아가게 된다. 마지막에 다시 출발점으로 돌아오게 되어 있는데 이는 사바세계 그대로가 부처님 세계임을 의미한다.
‘법계도인림’을 거쳐 산문을 지나 숲길로 들어선다. 1000년 넘게 내려온 숲길은 산뜻한 공기로 마음까지 청량하다. 파란 하늘을 향해 솟아있는 소나무들 사이로 비쳐오는 햇살은 산사를 찾는 이들에게는 또 하나의 선물이다. 명승지에 있는 다른 절처럼 번잡하지 않아 고운사는 좋다. 고찰 가운데 드물게 관람료를 받지 않아 공연한 시비를 할 필요도 없다. 사찰 입구에는 식당과 가게가 하나도 없어 고즈넉한 산사의 분위기를 만끽할 수 있다.
신라 말 불교와 유교, 도교에 모두 통달한 최치원이 여지대사, 여사대사 등과 함께 가운루(경북 유형문화재 제151호)와 우화루를 조성한 이후 그의 호인 고운(孤雲)을 빌어서 고운사(孤雲寺)로 바뀌었다. 의상스님과 최치원은 7~9세기 세계의 중심이었던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최고 인텔리’였다. 따라서 고운사는 1000년 전 불교와 유학의 최고 권위자가 창건하고 주석했던 도량으로 중요성이 남다르다.
이후 고려 태조 왕건의 스승이자 풍수지리사상의 시조로 추앙받는 도선국사가 가람을 크게 일으켰다. 특히 고운사는 해동제일지장도량이라 불리는 지장보살영험성지로 잘 알려져 있다.
1km 거리의 천년송림체험로를 걸으면 가장 아름답고 한국적인 일주문으로 손꼽히는 작은 규모의 고운사 일주문을 만난다. 일주문을 조성할 당시 원목을 그대로 활용한 선조들의 지혜가 담겨있다. 일주문에서 합장 반배를 하고 경내로 들어선다. 일주문을 지나면 계곡 위에 자리 잡고 있는 가운루가 모습을 드러낸다.
가운루의 본래 이름은 가허루(駕虛樓)였고 우화루의 본래 이름은 우화루(羽化樓)였다. 누각 아래로는 계류가 흐르고 뒤로는 산과 구름을 접하는 정토의 세계가 참배객을 기다린다. 번잡한 세속을 떠나 마음을 내려놓기에 적격이다. 죽어서 가야산의 신선이 되었다는 최치원과 밀접한 인연을 간직한 고운사는 도교적 이미지로 가득한 절이다. 뒷산의 명칭도 뭉게구름을 뜻하는 등운산이고, 최치원이 세웠다는 가허루나 우화루 역시 도교의 신선들이 타고 다니는 비행체들을 뜻한다. 그 만큼 이곳은 아름다운 선경에 가깝다.
종무소 건물을 지나서 대웅전이 나오고 뒤로 등운산((騰雲山) 봉우리가 원만하고 풍만하게 펼쳐져 있다. 아름다움에 탄성이 절로 나온다. 대웅보전을 지나면 도선국사가 조성한 보물 제246호 고운사 석조석가여래좌상이 봉안돼 있는 약사전이 나온다. 균형 잡힌 몸매와 인자한 상호, 완벽한 보존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9세기 통일신라시대를 대표하는 불상이다. 고운사 불상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다.
약사전 맞은편에 명부전이 자리하고 있는데 명부전은 사후에 인간이 심판받는 장소를 형상화한 곳으로 지장보살을 모시고 있으며 염라대왕을 비롯한 10명의 대왕과 그 권속들이 조성되어 있다. 이 건물은 약 300년 전에 세워진 법당이다. 죽어서 저승가면 염라대왕이 고운사에 다녀왔느냐고 묻는다는 이야기는 유명하다.
다시 종무소 쪽으로 가다보면 사찰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건물이 하나 있다. 최초에 영조가 내린 어첩(御帖)을 봉안하던 ‘연수전’으로 현재의 건물은 고종이 새로 지었다. 임금의 장수를 기원하던 곳으로 절에선 볼 수 없는 벽화들이 그려져 있다.
올해가 마침 호랑이띠 해라서, 참배객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는 ‘호랑이 벽화’가 눈에 띄었다. 보는 사람의 눈을 따라서 호랑이 눈동자가 따라오는 신기한 벽화다. 보수 당시 철거하지 않고, 본래 벽화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식당 벽면에 옮겨 놓았다.
2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하는 절은 별도의 운영체계인지 입구에 따로 있습디다?
그리고 저 밑에, 고운사로 접어드는 초입에다 엄청난 규모로 "절 마을"을 조성 · 건축하고 있더군요.
"아, 그게,, 도청이 옮겨온다니까 포교당을 크게 짓는다는 거였구나!"
![]() | ||
조계종 제16교구 고운사 본말사스님과 신도들이 새로운 경북의 천년을 여는 도청 신도시 포교당 건립에 모든 원력을 모으기로 했다. 고운사는 5월26일 경북도청 동락관에서 주지 호성, 봉정사 주지 자현, 연미사 주지 등운 스님 등 말사 주지스님과 우병윤 경북도 경제부지사, 김화숙 16교구 신도회장 등 6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도청 신도시 발전 비전 공유 및 도민 화합 강연<사진>을 개최했다. 호성 스님은 “새로운 천년을 준비하는 경북의 신도시 시대가 열렸다”며 “포교당을 지어 팔정도를 실천하고 화엄세계를 만들어 나가는데 앞장서 달라”고 당부했다. 권기창 안동대교수는 ‘도청 신도시 건설 현황과 향후 발전 과제’란 주제 강연에서 “경북도청이 들어선 신도시 미래는 밝다”고 전망하고 “불자들의 긍정적인 믿음이 포교당 건립을 앞당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도청이전의 영광 △변화하고 있는 안동의 모습 △안동의 발전과제로 나누어 발표하며 “신도시 개발에 따른 불교의 역할 확대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고운사 부주지 등운 스님은 도청 신도시 포교당 건립방안에 대한 설명을 통해 부지 매입 과정과 불사건립예산 규모를 소개했다. 스님은 “불자들의 합의로 마련된 108통장에 신도들의 적극적인 동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이재업 안동불자연합회장과 안영모 세영종합개발 대표는 각각 1억의 포교당 건립 기금을 약정하고 신도시 포교당 건립에 동참했다. 이어 고운사 사부대중은 신도시 포교당 부지로 자리를 옮겨 불사의 원만한 회향을 서원하는 법회를 봉행했다. 고운사는 내년 4월 기공식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3
암사와 전각이 366칸이라 했으니, '한 칸'이란 것은 기둥 하나 사이를 말함일 터,
평균 3~4칸을 집 한 채로 치면 - 거의 100채 건물이 들어차 있었단 얘기입니다.
터를 보니까 그만만하게 생겼습디다.
그런데 중간에 폐허가 되다시피했는지 관리가 제대로 된 것 같지가 않습니다.
지금 임기응변식으로 땜빵하느라 분주하더구만......
국보급은 몰라도 보물급에 해당할 건물이 더러 있을 듯한데,
마구잽이로 복원하면......
그리고 또 한 가지 의문은,,
절 이름이 「고운사(孤雲寺)」라는 것에 대해서 저는 납득이 안됩니다.
최치원이 '高운사'를 '孤운사'로 바꿨다? 최치원이 그런 얼간이라굽쇼?
(...... 여긴 백제 땅도 아닌데...... 이상합니다......)
그리고 '높을 고'를 써서「高雲寺」라고 한대도 마찬가지,, 그게 절 이름으로서 뭔 의미가 있습니까?
4
고불전
'이용준 불망비(不忘碑)'라..... 영세토록 어이 잊으리..... 구리로 주조되어 우뚝이 섰네......
아아! 어찌 잊으랴! 오매 불망 불망 불망 불망 불망!
5
가운루
고운사에서 핵심이 되는 건물입니다.
‘「가운루」의 본래 이름은「가허루(駕虛樓)」였고 「우화루(雨花漏)」의 본래 이름은「우화루(羽化樓)」였다 ’
??? ???
의성 현감이 풍류를 즐긴답시고 고쳐놓은 게벼? ㅋㅋㅎㅎ
駕 : 멍에 가
멍에 : 달구지나 쟁기를 끌 때 마소의 목에 가로 얹는 구부정한 나무가 멍에다.
※ 굴레는 죽을 때까지 쓰고 있어야 하는 것이고, 멍에는 일을 할 때만 쓰는 것이다.
6
종무소, 요사채, 매점 外
복원을 말이요, 전문가 불러다가 시간을 두고 천천히, 잘 좀 합시다잉! 서둘지 말고잉!
귀한 물건이 많아 보이는구만...... 아까와 죽겠넹!
7
용왕각
여긴 바다에서 먼 곳인데, 웬 용왕각이람?
그리고 저 벽화 좀 어떻게... ㅠ
(이 절은 틀림없이 뭔가 감추고 싶은 '과거'가 있음이야~)
8
나도 똑같이 그려볼쳐. 저 눈알이 따라오나 안 따라오나.
9
극락전
저 백말 타고 가는 그림은 인도에서 처음 중국으로 불교가 전래되던 장면을 그린,
중국 정주인가 낙양이든가의「백마사」의 유래를 담은 그림인데,, 왜 이곳에다??
암튼,, 이 극락전이 대웅전 구실을 해온 것 같습니다.
등운산이라죠? 딱, 요 자리에서 보기가 좋습죠.
꼭 바가지 엎어 놓은 것 맹키로, 무덤 봉분 맹키로,, 희한하게 생겼네요.
10
대웅보전 外
저 봉우릴 보고 대웅전을 지었을 거인디~~,
산세랑도 안 맞고, 이곳의 여러 건물들과도 ㄱ ㄴ 안 맞고,, 야 혼자서만 30도 정도 비틀어져 있당께요~~
이상하구마잉~! 내가 무식한 건가?
근래에 새로 지은 것들인지, 복원하면서 기와랑 단청을 새로 한 것인지......
고운사에서 유일한 보물입니다.
‘'이 법당(나한전)은 현재의 대웅보전 자리에 있던 건물로 원래의 대웅전입니다.
그러나 1992년도에 대웅보전이 신축되면서 현 위치로 이전되어 나한전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366칸이나 되었다는 절에서, 이 게 대웅전이었다? 고라????
요사채도 이따만한데....
기와를 절에서 직접 구었던 거겠지요. 그만큼 큰 절이었다는.
11
연수전
마치 절집과 정자의 합성 같은데, 고운사에서는 이 건물이 최고네요.
잘 지었구만요. 깔끔하게만 단장하면.......
13
가람배치가 자연스러워
새로 지은 큰 대웅보전인데,, 터와 향(向)이 좀 애매하다는 얘기는 했었고......
- 알아서 잘 잡았겠지요, 설마! -
가람의 배치가 정겹게 느껴지는 절입디다.
"야~ 이제 그만 가자 야~"
'산행기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시령 옛길 (0) | 2017.09.17 |
---|---|
내린천 휴게소 (0) | 2017.09.17 |
(안동) 임청각 (0) | 2017.08.30 |
산소에 풀이 어떤가 보러 갔다가 윤증고택에 들러서 (0) | 2017.07.24 |
수락리 계곡도 좋더만. 물이 아주 차데. (0) | 2017.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