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간혹 수채화를 유화의 기초과정쯤으로 이해하거나 수채화를 어느 정도 마스터한 후에야 유화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생각입니다. 수채화와 유화는 서로 그리는 방식이 다릅니다. 초보자라고 생각되면 두루 경험하면서 자기에게 맞는 방식을 찾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수채화나 유화 재료와 달리 아크릴화는 20세기 들어 개발된 재료입니다. 온도와 습도 변화에도 변색되거나 균열되지 않는 내구성이 뛰어난 재료입니다.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채화 정도의 장비만 있으면 되고 수채화같이 맑고 투명한 채색은 물론 유화처럼 두껍고 중후한 채색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수채화 정도의 건조 속도를 가지고 있어서 유화같이 블렌딩 기법을 사용하려는 사람에게는 불편하게 작용합니다. 마찬가지로 한 번 굳으면 변치 않고 유지되는 내구성으로 인해 수채화의 닦아내는 기법도 시용할 수 없습니다.
Paint in colors 01 채색을 한다는 것
Paint in colors 02 무엇을 표현하고 싶은가요
* 직접 해 보세요 무엇을 표현하고 싶은지 생각해 보기
Paint in colors 03 스케치는 설계도다
Paint in colors 04 채색의 두 가지 원칙과 일반적인 순서
Paint in colors 05 채색의 두 가지 방식
* 직접 해 보세요 점점 어둡게, 점점 밝게 그리기
PAINTING 02. 수채화, 유화, 아크릴화
Paint in colors 06 붓의 종류와 특성
Paint in colors 07 수채화 도구와 핵심 포인트
* 직접 해 보세요 주변의 사물을 수채화로 그리기
Paint in colors 08 수채화의 대표적인 8가지 기법
* 직접 해 보세요 수채화의 주요 기법 * 직접 해 보기
Paint in colors 09 수채화를 그릴 때 조심해야 하는 것들
Paint in colors 10 유화의 재료와 핵심 포인트
* 직접 해 보세요 주변의 사물을 유화로 그리기
Paint in colors 11 유화의 대표적인 7가지 기법
Paint in colors 12 유화를 그릴 때 조심해야 하는 것들
* 직접 해 보세요 유화의 주요 기법 * 직접 해 보기
Paint in colors 13 아크릴화의 재료와 핵심 포인트
* 직접 해 보세요 주변의 사물을 아크릴화로 그리기
Paint in colors 14 아크릴화의 대표적인 4가지 기법
Paint in colors 15 아크릴화를 그릴 때 조심해야 하는 것들
* 직접 해 보세요 아크릴화의 주요 기법 * 직접 해 보기
Paint in colors 16 혼합 재료를 이용해 그리는 그림
PAINTING 03. 명암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기술
Paint in colors 17 그림에서 명암의 의미
Paint in colors 18 명암은 단순하게, 색 변화는 풍부하게
Paint in colors 19 하이라이트를 절제하라
* 직접 해 보세요 주변의 사물에서 중요한 하이라이트만 찾아보기
Paint in colors 20 명암을 배분하는 기술
* 직접 해 보세요 명암 배분 실습하기
PAINTING 04. 그림에서 색을 다루는 방법
Paint in colors 21 색의 관계를 이해하는 틀
* 직접 해 보세요 색상환 기억하기와 혼색 결과 예상하기
Paint in colors 22 변화보다 통일이 우선이다
Paint in colors 23 색의 대비와 변화
Paint in colors 24 손쉽게 통일감을 확보하는 방법
* 직접 해 보세요 바탕칠과 덧칠 방식으로 색의 중화와 변형 느껴 보기
PAINTING 05. 빛을 표현하는 방법
Paint in colors 25 빛을 표현하는 두 가지 방법
Paint in colors 26 빛 표현의 효과
PAINTING 06. 세련된 그림을 만드는 윤곽선과 질감 표현
Paint in colors 27 윤곽선은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것
Paint in colors 28 윤곽선에는 변화가 있어야 한다
* 직접 해 보세요 윤곽선의 변화를 포착하여 그려 보기
Paint in colors 29 질감을 표현하는 방법
PAINTING 07. 자연스럽고 멋진 붓질을 위한 노하우
Paint in colors 30 다양한 붓질의 방법
* 직접 해 보세요 여섯 가지 붓질 방법을 * 직접 시도해 보세요
Paint in colors 31 붓질의 방향
* 직접 해 보세요 다양한 붓질 방향 연습하기
Paint in colors 32 붓질의 개성과 리듬
* 직접 해 보세요 자유로운 붓질 연습하기
PAINTING 08. 그림의 완성도를 높이는 채색의 밀도
Paint in colors 33 채색에서 밀도의 의미
Paint in colors 34 채색의 밀도를 높이는 5가지 요령
Paint in colors 35 채색의 밀도 변화가 중요한 이유
PAINTING 09. 그림에서 우연성의 활용에 관하여
Paint in colors 36 그림에서 우연적 효과의 활용
* 직접 해 보세요 우연적 효과를 * 직접 활용해 보기
Paint in colors 37 우연적 효과를 만드는 알라 프리마(alla prima)
PAINTING 10. 그림의 완성을 판단하는 기준
Paint in colors 38 그림의 완성 기준은 과연 무엇일까
1
수채화는 물감의 번지는 특성을 활용해 단번에 색 변화나 명암 변화를 만들 수 있고, 겹쳐 칠하는 방식으로 차근차근 색 변화와 명암 변화를 만들 수 있다. 섬세하고 묘사적인 그림을 그릴 때는 스케치를 정확하게 하고 조심스럽게 색을 겹치면서 표현하는 것이 좋다. 고운 종이에 붓이 물을 너무 많이 품지 않도록 하는 것도 요령이다.
2
수채화는 수정이 쉽지 않아 무계획적으로 붓을 놀릴 경우 그림을 망치기 쉽다. 그렇다고 지나치세 계획적으로 붓질을 하면 수채화 특유의 자유로운 느낌을 살릴 수 없다.
3
수채화의 대표적인 8가지 기법
웨트 인 웨트 기법
이미 젖어 있는 종이에 색을 칠해 자연스럽게 번지도록 하는 기법이다. 앞서 칠한 물감이 마르기 전이나 깨끗한 물로 종이를 적신 후 새로운 색을 칠하는 것이다. 물이 종이에 스미지 못해 고여 있을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번지지 않으므로 물이 종이에 완전히 스민 다음에 시도해야 한다. 물감이 물기를 따라 번지면서 농도가 흐려지는 경향이 있으니 물감을 진하게 써야 한다.
웨트 온 드라이 기법
마른 종이 위나 이미 칠해진 마른 색 위에 겹쳐 채색하는 기법이다. 탁해지므로 3번 이상 반복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갈필 기법
마른 상태의 종이에 물기가 거의 없는 붓으로 칠하는 기법이다. 나뭇가지나 풀숲, 낡은 벽 등 거친 느낌을 표현할 때 유용하다. 웨트 인 웨트로 칠해진 곳에 부분적으로 사용하면 매우 효과적이다.
닦아내기, 긁어내기 기법
날카로운 경계를 부드럽게 만들거나 은은한 하이라이트를 만들 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물자국 만들기 기법
먼저 칠한 물감이 완전히 마르기 전에 물기를 많이 먹은 붓으로 덧칠을 한다. 그러면 물이 이미 칠해진 물감을 밀어내면서 자국을 만들어 낸다. 이때 가장 좋은 타이밍은 종이에서 물기의 번들거림이 사라진 직후이다. 물기가 너무 많아도 안되고 적어도 안된다.
흘리기와 뿌리기 기법
양초나 오일 파스텔 같은 유성 재료로 채색한 후 그 위에 수채화 물감을 덧칠하여 거친 질감을 만들어낸다. 그림이 완성될 때까지 유지되어야 할 드로잉 선이나 무늬 같은 것을 유성 재료로 그려두면 수채화에 의해 덮이거나 혼색 될 우려가 없어 편하게 그릴 수 있다.
소금 뿌리기 기법
종이에 채색을 한 후 물감이 마르기 전에 소금을 뿌리면 서서히 눈꽃 같은 무늬가 만들어지는데, 물감이 다 마른 다음에 소금을 털어내면 된다.
4
大畵家들은 그림의 핵심내용에 강한 대비를 집중시켜 화면에 강약을 부여하고 명암 단계에서 완성도를 끌어올리는 전략을 자주 사용한다. 구성의 완결성을 끌어올림과 동시에 색 문제가 그림의 전체적인 질을 침해하지 못하도록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다. 명암 배분이 채색 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인식고 스케치 단게부터 이 부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5
색을 잘 다루고자 한다면 색상환을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물감으로 직접 그려보는 것이다. 어두운 색을 섞으면 어두운 색이 나타나고, 샛상환에서 거리가 먼 색을 섞으면 채도가 낮은 색이 나온다.
6
색감이 좋은 그림이 되려면 색들 간의 변화와 통일이 적절히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그렇지만 변화와 통일 중 하나만 골라야 한다면 통일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통일감 확보를 우선시하고 필요한 만큼만 변화를 추가한다는 자세로 색을 사용해야 한다.
7
윤곽선의 변화는 분명 중요한 요소지만, 모든 변화를 일일이 포착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는 없다.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변화를 수용하면서 큰 변화만 잡아내면 된다. 일단 모든 윤곽선을 중간 정도로 간주한 후 가장 날카롭고 분명한 부분, 그리고 주변 사물과 붙어 보이는 부분을 찾는다.
8
채색의 밀도라는 것은 ‘화가가 그림에 들인 시간과 노력의 느껴짐’이라고 할 수 있다. 밀도 변화는 화면에 시각적인 강약을 부여해 감상자를 편하게 한다. 밀도가 동일하면 지루하고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어느 곳은 조밀하게, 어느 곳은 시원시원하게, 어는 곳은 앏게, 어는 곳은 두껍게 같은 강약과 변화가 있어야 그림에서 세련된 느낌이 나고 감상자도 편하게 감상할 수 있다. 중요한 부분, 관심이 가는 부분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집중해서 세밀하게 다듬고, 그 외의 부분은 편한 마음으로 과감하게 그리는 것이 좋다.
9
그림의 완성
“마지막으로 그림을 그리다 보면 자신의 표현 의도와 상관 없이 나름 만족스럽게 느껴지는 순간을 맞을 때가 있습니다. 초보자는 그럴 때 그림에 손을 대지 않으려 합니다. 하지만 그런 태도로는 그림 실력을 향상시킬 수가 없습니다. ( ...... ) 최초의 생각을 끝까지 밀고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실수를 두려워하면 안됩니다.
'내 그림 > (수채화 소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채화, 나무 그리기 (가을 / 겨울) (0) | 2016.01.04 |
---|---|
그릴 수 있을라나? (0) | 2016.01.03 |
《공감가는 투명 수채 레슨》- 물의 번짐을 활용하는 방법 (0) | 2015.12.20 |
《즐거운 수채화 그리기》 (0) | 2015.12.19 |
《시작하자! 수채화》 (0) | 2015.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