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 아시아 미술사』
저자 강희정 , 구하원 , 조인수 지음 출판사 예경 | 2015.09.10
[클릭, 아시아미술사]는 국가와 시대의 구분에 따라 기계적으로 서술하는 것을 과감히 포기하고, 흥미로운 주제에 따라 중요한 미술품을 함께 살펴보는 책이다. 책을 통해 아시아미술의 공통적인 특징이 분명하게 드러남을 알 수 있으며, 현대미술을 포함시켜 과거와 현재 미술의 활발한 대화를 시도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
저자 : 강희정
저자 강희정은 서강대학교에서 동남아시아 문화와 미술을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중국미술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과 한국, 동남아의 관계, 바닷길을 통한 미술의 세계화에 주목하고 있으며, 인도에서 동남아를 거쳐 중국·한국으로 들어오고 나간 미술과 그 속에 투영된 인간의 삶의 들여다보려 한다. 불교미술의 아름다움에 반해 각지를 답사하며 즐기는 한편 미의식이 과연 중립적이거나 절대적인지, 국가는 미술에 어떻게 개입하는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
저자 : 구하원
저자 구하원은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에서 인도 근현대 문화와 예술을 가르치고 있다.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인도와 이슬람 미술을 주제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이러한 미술을 새로운 시각을 통해 읽는 방법을 배운 것을 귀중하게 생각하고 있다. 지금은 식민치하 인도 대학과 지성의 성장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볼리우드 영화에 대한 저서를 준비하고 있다.
저자 : 조인수
저자 조인수는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에서 동아시아미술사를 가르치고 있다. 호암미술관(현 삼성미술관리움)에서 학예연구실장을 지냈고, 미국 캔사스대학교에서 중국 신선도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언어를 통해 이해하는 문학과 달리 미술은 작품을 직접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질 수 있기에 가슴 떨리는 흥분과 벅찬 감동을 가져다준다고 믿는다. 조선시대의 초상화와 인물화 연구에 힘을 쏟고 있다.
아시아미술 바로보기4
아시아의 역사 연표14
클릭, 아시아미술 한 눈에 보기16
제1장 고대미술의 재발견(기원전12000-6세기 중엽)
1 선사문화의 등장 026
2 도시와 무덤 그리고 문명 034
제2장 아시아 종교의 형성 : 불교와 유교미술(기원전321-6세기)
1 인도의 불교미술 056
2 중국에서의 불교 전파와 불교미술 074
3 중국의 유교문화 : 사회 통치이념과 미술 086
제3장 종교와 권력의 표현(5-13세기)
1 국가와 개인의 종교 098
2 일본에서의 불교 전파와 미술 109
3 인도의 힌두교 미술 117
4 동남아시아의 거대사원 138
제4장 회화와 서예의 발전(7-13세기)
1 당대의 회화 150
2 오대, 송대의 회화 158
3 중국의 서예 172
4 헤이안시대 회화 176
제5장 정복자의 미술 : 이슬람과 몽골의 후손들(12-16세기)
1 이슬람의 전파와 새로운 건축 186
2 원: 몽골의 발흥과 복고적 문인화 201
제6장 회화의 시대 : 지성과 기량(12-16세기)
1 명: 절파와 오파의 성립 220
2 막부의 시대: 무사와 귀족 문화의 혼융 232
제7장 국가이념과 권력(16-19세기)
1 티무르의 후손들 244
2 청 제국의 미술 262
3 막부의 권위와 미술 276
제8장 기술과 자본의 꽃, 도자기(7-19세기)
1 중국의 도자기 292
2 일본의 도자기 303
제9장 미술과 대중 : 전통과 근대의 교차(16-19세기)
1 중국 판화와 미술시장 314
2 에도시대의 우키요에 326
3 인도의 근대화와 식민지미술 336
제10장 세계화시대의 아시아미술(19-20세기)
1 중국의 현대미술 352
2 일본, 미술의 ‘발견’과 제도화 361
3 남아시아 현대미술 367
부록 374
참고문헌376
찾아보기380